민주당-시민통합당 통합협상안 전격 합의
야권통합 논의가 호남세의 반발 속에 결론을 맺었다. 손학규 대표의 민주당과 문재인'이해찬 공동대표의 '혁신과 통합'이 주축인 시민통합당은 7일 통합협상안에 전격 합의했다.
손 대표와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 혁신과 통합의 문재인'이해찬'문성근'이용선 상임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긴급 회동을 갖고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의 당대당 통합안에 서명했다. 핵심쟁점이었던 지도부 선출 방식은 합의를 도출했다. 최고위원회의는 선출직 6명, 지명직 3명, 당연직 2명으로 하고 최고위원 선출에 참여할 선거인단은 '대의원 30%, 당원'시민 70%'로 구성하기로 했다.
양당은 대의원 선거인단을 동수로 꾸리기로 하면서 당원'시민 투표방식 결정과정에서 서로 한 발씩 양보했다.
민주당은 그동안 시민통합당이 반대해 온 이른바 '임시당원'제도는 채택하지 않기로 했다. '임시당원'제도는 일반 시민들이 선거인단에 등록할 경우 약식으로라도 당원에 가입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방식이다. 대신 시민통합당은 현재 민주당 당원들이 별도의 절차 없이 선거인단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을 수용했다.
더불어 양당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공천의 경우 완전 개방 시민경선 방식으로 진행한다는 원칙에도 합의했다.
통합정당의 이름은 공모와 국민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통합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결정하되 '민주'라는 단어가 들어가게 하고 약칭은 '민주당'으로 하기로 했으며 지도부 구성과정에서 젊은층과 여성'노동계 등을 적극 배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당대당 통합작업의 실무작업을 맡을 수임기관 합동회의는 양당 각 7인과 한국노총 2인을 포함해 총 16명으로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은 "향후 추가논의가 필요한 사항은 현재 구성된 통합협상단이 계속 협의해나갈 것"이라며 "오늘 합의 내용의 가장 큰 특징은 정당 통합 역사상 최초로 지도부 구성과 내년 총선 공천에 있어서 지분나누기를 완전배제했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야권통합 논의에 반발하고 있는 당내 인사들의 저항을 돌파해야 하는 숙제를 남겨두고 있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통합 반대파들은 손 대표가 당내 인사들과 일체의 소통 없이 통합논의를 진행하면서 민주당의 정체성을 훼손했을 뿐 아니라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통합작업이 진행될 경우 민주당이 시민통합당에 흡수합당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