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에서 화재 진압 도중 순직한 고 이재만 소방위와 한상윤 소방장의 영결식이 5일 열렸다. 화재와 재난 현장에서 일하다 유명을 달리한 이들의 숭고한 영전에 삼가 고개 숙여 조의를 표한다. 두 소방관의 투철한 희생 정신 뒤에 남겨져 소중한 아빠와 남편, 아들을 잃은 슬픔과 외로움에 젖어 있을 유족들에게도 깊은 위로를 전한다.
이들의 안타까운 죽음은 소방관들의 열악한 처우를 되돌아보게 한다. 두 소방관들은 매월 월급 외에 위험수당 5만원과 화재진압수당 8만 원 등 13만 원의 생명수당을 출동 횟수와 상관없이 정액제로 받았다. 소방관들은 화재 진압 외에 각종 재난 구조에도 나서게 되는데 두 소방관은 올해 한달 평균 30회 현장에 출동했으니 회당 4천300원의 수당을 받은 셈이다. 우리나라 소방관의 전체 수당은 경찰관 수당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월급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소방관 1인당 담당 인구도 1천500명으로 200~800명인 선진국보다 훨씬 많다. 소방방재청 조사 결과 소방관의 40%가 외상 후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군인, 경찰관들과 달리 전용 병원이 없어 다쳤을 경우 자기 부담금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 빈약한 재정에 의존하는 지방직 공무원으로 국가직 공무원인 경찰관이 3교대 근무를 하는 데 비해 2교대 근무를 하는 것이 태반이다.
선진국의 소방관들이 사람 목숨을 구하는 일을 한다 하여 사회적 존경과 대접을 받고 있는 데 비해 우리나라 소방관들은 너무 홀대 당하고 있다. 불이 나서 소방관이 죽으면 반짝할 뿐 그 뒤로는 까맣게 잊힌다는 소방관들의 말이 가슴을 찌른다. 법과 제도를 정비하여 소방관들의 처우를 대폭 개선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