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뇌졸중·자궁암 진료성과 OECD 최고수준
우리나라의 자궁암과 뇌졸중 진료성과가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OECD가 발표한 '보건의료 질 지표(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프로젝트에 따르면 한국의 자궁암·뇌졸중 진료 성과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분석됐다. 또 급성기 질환과 암질환의 진료 성과도 OECD 국가 중 평균 이상이었다.
뇌졸중과 급성심근경색증은 OECD 국가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이들 질환의 입원 30일 이내 사망률은 단기 진료 영역의 질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지표다.
우리나라의 허혈성 뇌졸중 30일 사망률은 1.8%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으며 출혈성 뇌졸중도 9.8%로 OECD 평균(22.6%)을 크게 밑돌았다.
2009년 OECD 회원국 중 최하 수준을 보였던 급성심근경색증 30일 사망률(6.3%)도 꾸준히 개선돼 OECD 평균(5.4%) 수준에 근접했다.
암질환의 진료성과는 5년 상대 생존율을 기준으로 측정됐다. 5년 상대생존율은 같은 연령대 일반인과 비교한 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을 뜻하는 것으로 암 상대생존율이 100%라면 일반인과 생존 가능성이 동일하다는 의미다.
한국인의 자궁경부암 5년 상대생존율은 76.8%로 노르웨이(78.2%)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대장암 5년 상대생존율은 63.7%로 OECD 국가 중 5위를 기록했다. 1위는 일본(68%)이었으며 아이슬란드(66.1%), 벨기에(64.7%), 미국(64.5%) 등이 뒤를 이었다.
자궁경부암 검진율은 65.3%로 OECD 평균(61.1%)보다 높았으며 유방촬영술은 51.4%로 OECD 평균(62.2%)보다 낮았다.
전염성 질환 성과의 기준인 예방접종률은 ▲소아 백일해 94% ▲홍역 93% ▲B형간염 94% 등으로 OECD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65세 이상 연령층의 인플루엔자 접종률은 73.6%로 OECD 평균(56.3%)보다 높았다.
그러나 1차 의료 만성질환 관리 영역의 성과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입원율은 인구 10만명 당 각각 101.5명, 222명으로 OECD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또 조절되지 않은 당뇨 입원율은 인구 10만명 당 127.5명으로 OECD 평균(50.3명)과 큰 차이를 보여 상대적으로 성과가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 당뇨 등으로 입원율이 높다는 것은 1차 의료 환경이 열악하거나 입원 병상이 비효율적으로 활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설명했다.
OECD는 '보건의료 질 지표(Health Care Quality Indicators)' 프로젝트를 통해 회원국의 보건의료 성과를 지속적으로 수집해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Health at a Glance)'에 공표해왔다.
이번 비교 분석을 위해 국내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 청구자료와 국립암센터의 중앙 암 등록자료가 활용됐다.
심평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립암센터 등 관련기관과 협력해 OECD 보건의료 질 지표 프로젝트와 보건의료정보통신 벤치마킹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며 "향후 OECD 프로젝트지원단도 상설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