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道 행정 이기심 버려라" 경제통합 촉구 질책 쏟아져

입력 2011-11-09 11:15:13

대구경북 상승발전 모색 첫 경제·기관단체장 회의

"대구 경북 이래서는 안 됩니다."

대구와 경북의 소모적인 갈등을 잠재우고 상생 발전을 위한 모임이 열렸다.

8일 대경권광역발전위원회(공동위원장 김관용 경북도지사'김범일 대구시장) 주관으로 '상생 발전 모색을 위한 대구경북 경제·기관 단체장' 회의가 열린 것. 관계기사 3면

이날 회의에는 대구경북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경제자유구역청 등 대구시·경상북도 공동 설립 기관과 섬유, 기계 등 산업 조합, 테크노파크 등 연구개발(R&D) 기관, 상공회의소 등 기업단체 22곳 대표가 참석했다.

대구경북 경제 관련 기관'단체들이 대구경북의 상생 발전을 위해 모인 것은 처음이며 이날 행사에서 지역 발전을 가로막는 시와 도의 이기적 행정에 대한 질타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특히 국책 사업 유치를 위한 대구와 경북의 소지역주의가 주요 쟁점으로 부각됐다.

참석자들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및 지능형 자동차시험상 입지 선정을 둔 대구와 경북의 갈등과 대구경북을 관장하는 디지털진흥원(대구 소재)을 경북이 별도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집중적으로 성토했다.

또 시와 도의 불협화음으로 대구경북에 3곳으로 갈라져 있는 테크노파크의 문제점도 지적됐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강원 대경권본부장은 "대구와 경북이라는 계란은 절반으로 쪼개져 있다. 대전 충남 경우 역할 분담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키우고 있다"며 "대구와 경북이 서로 존중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상생 발전을 위한 대구시와 경북도에 대한 주문도 이어졌다.

대구테크노파크 이종섭 원장과 경북테크노파크 나병선 기업지원단장은 "대구·경북 협력 효과는 국책 사업 유치에서 시너지 효과를 낸다"며 "대구나 경북이 서로의 지역을 고집할 경우 대형 국책사업 유치는 물건너 간다"고 말했다.

위원회 박광길 사무총장도 "대구와 경북은 2개 행정 체제로 나뉘어 있으나 경제는 하나로 묶여 있다"며 "대구와 경북이 상생 협력을 외면한다면 지역 경제가 버텨내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이날 모임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해 시와 도에 건의할 예정이며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지사가 공동주제하는 2차 회의를 이달 중 마련할 계획이다.

이상준 '노경석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