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사별 이주여성 소외 심각..정책 필요"
이혼이나 사별 등으로 남편 없이 사는 이주여성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이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해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인 소외도 심각하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이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7일 낮 유네스코 회관에서 열린 여성가족부 주최 '제3회 다문화가족포럼'에서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이 2000년 1천694건에서 2009년 1만1천692건으로 늘어나는 등 이혼의 증가세가 뚜렷하다"며 "국제결혼 부부의 이혼과 사별로 인한 문제에 대해 정책적 대응 요구가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2009년 10월 실시된 '2009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응답에 참여한 이주여성 11만7천516명 중 이혼 또는 사별한 채 국내 체류 중인 이주여성은 6천64명으로 5.2%를 차지했다고 소개했다.
이들 이혼·사별한 이주여성은 '삶에 만족한다'는 응답률이 33.7%로 배우자가 있는 이주여성(58.4%)보다 크게 낮았으며 이들이 한국생활에서 어려운 점으로 꼽은 문제는 '경제적 어려움'(36.4%), '외로움'(16.6%), '자녀 양육 및 교육'(10.5%)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혼·사별한 이주여성의 취업자 비율은 66.2%로, 배우자가 있는 이주여성(39.5%)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이들의 월평균 가구소득은 50만원 미만이 15.1%, 50만-100만원 사이가 38.3%에 달해 100만원 미만 가구가 53.4%에 달했다. 배우자가 있는 이주여성 가구 중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경우는 19.8%였다.
이들은 생계의 어려움으로 36.5%가 생활비를 빌린 적이 있거나 20.9%는 병원에 못 가고 치료를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모국인 친구모임에도 가본 적이 없는 경우가 48.0%에 달하는 등 이들이 사회적인 소외에 직면할 가능성도 큰 것으로 보인다고 김 연구위원은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특히 이들 이혼·사별한 이주여성 중 2천여명은 자녀 양육 부담도 있지만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기댈 곳이 없어 기초생활수급자로서 살아가거나 아이를 출신국 친정에 보낸 채 취업하는 방법 이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 다문화 정책은 대부분 정상적인 가정생활을 영위하는 다문화 가족을 대상으로 추진된다"며 "이혼·사별한 이주여성에게 자녀 양육이나 취업 지원 서비스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등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문화가족포럼은 여성가족부가 작년 9월 다문화 전문가들의 소통과 협력의 장으로 창립한 기구로, 정준양 포스코 회장과 김양희 중앙대 명예교수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창립 이후 100여명의 회원이 전체 포럼과는 별도로 거버넌스, 교육문화, 가족지원 등 3개 분과에 소속돼 정례적인 분과 포럼을 열어왔다.
이날 포럼에서도 김 연구위원의 주제발표 이외에 '한국인을 위한 다문화 사회교육의 필요성'(김준식 아시아프렌즈 이사장), '다문화 교육정책 평가와 제언'(권순희 전주교육대 교수), '다문화 사회의 기업 사회공헌활동 사례 및 제언'(손기진 포스코 상무) 등 포럼내 분과별 논의내용을 정리한 발표가 진행됐다.
또 KBS '러브인아시아'의 강지원 PD가 '언론매체를 통해 본 다문화 가족, 빛과 그림자'를 주제로 특강도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