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의 종말/폴 에얼릭'앤 에얼릭 공저/ 하윤숙 옮김/ 부키 펴냄
하나의 생물종에 불과한 호모 사피엔스는 어떻게 이처럼 막강한 존재가 되어 지구환경을 위협하는 존재까지 되었을까. 진화론의 위대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종종 문명을 진화의 관점에서 보지 않는다. 인류가 날 때부터 지구의 모든 동식물을 지배하는 존재로 태어났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이 오늘날 이 같은 위치를 차지한 것이 유전적 진화와 문화적 진화 덕분임을 부인할 수 없다.
지은이는 이 책에서 인류문명과 역사를 '문화적 진화'로 해석한다. 지은이에 따르면 "인류는 이미 환경에 맞춰 적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지구 전체를 바꾸는 존재이며, 계속 살아남기 위해서는 시급하게 풀어야 할 과제가 산재해 있다"고 말한다.
책은 진화론을 비롯해 생태학, 기후학, 인구학 등을 입문서 수준으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이들 학문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큰 그림으로 보여준다. 전체는 16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6장까지는 진화와 인류의 문화적 진화를, 6장 이후는 인구, 역사, 생태, 기후, 소비, 에너지, 정치체제 등을 다룬다.
책의 전반부는 '호모 사피엔스가 어떻게 지구를 지배하게 되었을까'라는 큰 주제 아래 이야기를 풀어간다. 다윈의 진화론에서부터 현대 진화론자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여러 논쟁을 통해 각 개체가 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달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인간의 행위가 어떤 개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고, 그 결과 또 다른 개체에는 어떻게 번성의 기회가 됐는지 등을 살펴본다.
4장부터 8장까지는 이 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문화적 진화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현생 인류의 발자취를 문화적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언어와 두뇌, 의식의 발달은 유전적 진화의 산물이다. 그러나 이 유전적 진화의 결과로 생겨나 주변의 동식물과 지구를 바꾸고, 결국은 유전적 진화 그 자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문화적 진화다.
전쟁, 농경, 가족 및 국가의 탄생, 사회적 규범의 성립은 인류와 자연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지각과 믿음(종교), 인종은 또 어떤 영향을 주고받는 것일까. 이처럼 문화적 진화는 유전적 진화와 더불어 지구를 지배하는 호모 사피엔스를 이해하는 키워드다. 흥망을 거듭해온 국가의 역사 역시 문화적 진화에 해당한다.
후반부에서는 '호모 사피엔스가 지구를 지배하는 종으로 남을 수 있느냐'에 대해 질문한다. 이런 질문은 자연스럽게 인구, 기후, 생태, 식량, 에너지, 정치문제 등을 끌고 나오게 되고,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또렷하게 보여준다.
지은이 폴 에얼릭과 앤 에얼릭은 부부 진화생물학자이며, 폴 에얼릭은 스탠퍼드대 교수로 스웨덴 왕립아카데미가 수여하는 크라포드상을 받았다. 앤 에얼릭은 스탠퍼드대 생명과학부 연구원으로 나비, 산호초 물고기, 핵무기 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연구해온 학자다. 560쪽, 2만3천원.
조두진기자 earf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