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중반 이후 네덜란드계 보어인과 영국인들이 차례로 진출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흑인 원주민들의 설 자리는 점점 좁아졌다. 그러나 1816년 줄루족의 강력한 지도자 샤카가 이 지역 동부에 왕국을 세웠다. 케츠와요 캄판데(1826~1884)는 샤카의 조카로 줄루 왕국의 마지막 왕이었다.
케츠와요는 30살 때 왕자의 난을 일으켜 아버지인 음판데 왕이 총애하는 동생 음부야지를 죽이고 이후에 다른 형제 움통가를 축출했다. 음판데 왕이 죽은 직후인 1873년 오늘, 왕이 된 케츠와요는 울룬디에 새 수도를 정하는 한편 유럽 선교사들의 입국을 금지하고 원주민들에게 백인들에 대항할 것을 촉구했다. 이로 인해 1879년 앵글로-줄루 전쟁이 발발, 초기 전투에서 승리하기도 했으나 최종적으로 패해 줄루 왕국은 해체됐다.
영국의 런던으로 추방된 케츠와요는 줄루 지역에서 친 케츠와요 파와 반 케츠와요 파 간의 갈등이 생기자 영국인들에 의해 다시 지도자로 옹립됐다. 1883년과 1884년, 2년에 걸쳐 줄루족을 지배한 뒤 58세의 나이로 숨지자 아들 디니줄루가 그 뒤를 이었다. 제이콥 주마 현 남아공 대통령이 줄루족 출신이다.
김지석(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