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춘추] TK, 무슨 상관이람?

입력 2011-08-23 07:09:33

TK란 용어를 언론에서 처음 쓴 것은 유력 일간지의 한 언론인이었다. 그는 1987년 한 칼럼에서 'TK 마피아'가 사회 각 층에서 너무 독식을 오래해 왔음을 지적하며 당시 이 지역을 대표하던 대권후보가 바로잡길 촉구했다. 이처럼 TK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에는 이미 대구경북 지역 사람에 의한 권력의 편중과 특권의식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가 상당히 퍼져 있을 때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구경북 지역 사람들은 그 권력과 특권을 누렸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다.

그 후 TK란 용어에 대칭하여 PK(부산경남)란 용어가 등장하였고 이로 인해 고려시대 이래로 경상도라는 한 고장으로 살아온 지역이 둘로 나누어 생각되게 되었다. 그런데 PK 출신의 김영삼 대통령이 TK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당선되었음에도, 위천공단과 삼성자동차 문제로 실망감을 주어 두 지역은 금이 가더니만 급기야는 계속된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TK는 탈락되고 PK가 경상도 몫으로 우대되는 것을 겪으면서 간격이 생기게 되었다. "우리가 남이가"라는 고향의식은 정치적 굴곡에 의해 말할 수 없는 냉랭함이 흐르고 있다.

한편 MB 정부의 등장과 함께 이 지역 출신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친이, 친박이라는 형태의 또 한 번의 분열을 겪었다. 심지어는 서울 TK니, 지역 TK니 하며 나누어 보기도 한다. 이처럼 지역민의 뜻과 달리 어느 순간 경상도는 이리저리 분열과 대립의 장소로 변해 버린 것이다. 다소 섭섭함과 맞물려 이 지역인 스스로의 행동이 점점 소그룹으로 전락하게 하고 있다. 이제 TK 지역 출신의 정치인들조차 이리저리 분열된 조각 힘만 갖고 중앙무대에서 제대로 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이 지역이 점차 고립되며 분열될수록 이 지역의 이익 파이는 점점 작아지고 나쁜 정치적 의도자의 술수는 성공한다는 것이다.

우리 지역 사람들은 자기 지역에 관한 관심이 유달리 높다. 그런데도 서로 간에 화합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우리 지역 각 행정기관이나 유관기관의 협조가 제일 잘 안 되고 어려운 것 같다고 호소하는 사업가들이 많다. 대구에서 어지간히 명함을 내 놓는 사람들은 크든 작든 모임의 회장이다. 배타성이 전국 제일이라고 한다. 우리 지역이 이런 평가를 받는다면 고쳐 나가야 한다. 국제화 시대에는 더불어 살지 않을 수 없고 다양한 인재나 자본의 유입 없이 발전할 수 없다.

우리 지역인은 늘 역사의 중심에 있었다. 경상도 지역이 앞장서 이루어온 조국 근대화나 새마을운동과 같은 큰 흐름은 어느 특정 집단이 아니라 이 지역을 중심으로 불붙어 확산된 가슴 뿌듯한 역사인 것이다. 이제 지역을 넘어선 큰 눈으로 우리 사회의 통합과 화합에 앞장서야 한다. 시대는 급격히 변하고 있다. 자칫 시대 변화를 이끌지 못하면 우리의 불만은 높아가고 뒷자리서 불평만 하는 신세로 전락할지도 모른다.

서 영 득 변호사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