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통합 '연합정당론' 통할까…문재인 주장해 눈길

입력 2011-08-15 09:45:29

야권의 유력한 대권주자로 부상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야권통합을 위한 방법으로 '연합정당론'을 제시했다. 각 정파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하나의 틀 안에서 움직이는 정당운영방식이다. 그동안 정파등록제와 정파명부식 투표제 도입 등을 주장하며 야권의 대통합을 요구해온 진영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문 이사장은 다가올 대선·총선 승리는 물론 진보정당의 염원인 교섭단체 구성을 위해서도 연합정당 방식을 적극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문 이사장은 "민주당을 제외한 다른 야당들은 통합을 하면 민주당에 흡수·소멸 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는 것 같은데 이를 불식시키려면 연합정당 형태로 가면 된다"고 말했다.

연합정당은 당내 정파의 독립성을 인정, 정책활동의 자율성을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중요한 법안 처리 시에도 당론을 강제하지 않으며, 당무도 정파의 지분을 반영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문 이사장은 "진보정당들이 소통합을 추진하는 목적은 대중적 진보정당을 만들어 원내 교섭단체 정도는 확보하겠다는 것"이라며 "민주당과 연합정당을 만들어 내부에 일정한 몫을 인정받는 것이 그 목표 달성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이사장은 연합정당으로 가기 위한 민주당의 기득권 포기를 요구했다. 그는 "민주당의 대통합 제의가 진보정당으로부터 제대로 호응을 받기 위해서는 기득권도 내놓을 자세가 돼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이사장은 오는 11월말 말 또는 12월 초에 있을 민주당의 차기지도부 구성을 위한 전당대회를 개최하는 과정에서 대통합문제도 결실을 맺는 것이 좋겠다는 의중도 밝혔다.

이와 함께 손학규 민주당 대표 역시 여름휴가를 마치고 15일 복귀, 본격적인 정치행보를 시작함에 따라 야권통합을 위한 움직임도 더욱 분주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야권 통합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전망은 그래서 나온다. 민주당 현 대표와 새로운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는 친노진영이 야권통합을 위해 힘을 모았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손 대표와 문 이사장 모두 야권통합을 이뤄내야만 지도력을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두 사람이 야권통합 논의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야권통합과 내년 총선에서의 선전, 이 두 가지는 손 대표와 문 이사장에게 주어진 공통된 과제"라며 "일정한 시점까지 두 사람 사이 경쟁과 공조가 번갈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야권통합은 생각만큼 쉽게 이뤄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진보정당들이 민주당의 손짓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진보정당들은 당대당 통합보다는 선거연대를 선호하고 있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