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CS 컨소시엄 매매대금 납부 기한 넘겨
대구 지역 최대 자동차 부품회사인 한국델파이㈜의 새주인 찾기가 안갯속으로 빠지고 있다.
주식매매 본계약(SPA)을 체결한 이래CS 컨소시엄이 매매대금 납부 기한을 넘기면서 인수여부가 다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2008년 이후 여러 차례 인수 파행을 겪은 탓에 인수 난항 배경에 정치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는 등 소문도 무성하게 나돌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코오롱 등 한국델파이에 입질을 해온 여러 기업을 제치고 이래CS와 대우인터내셔널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지분 매각 입찰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돼, 6월 한국델파이와 주식매매 본계약 체결했지만 기한인 지난달 말 매매대금을 내지 않았다.
업계는 "이래CS는 3주간의 한국델파이 실사를 거쳐 지난달 말까지 잔금을 내기로 했지만 납부하지 않았다"며 "실사과정에서 가격조정 여건이 여의치 않아 실사를 모두 끝마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래CS가 실사를 통해 델파이 쪽의 지적사항을 찾아내야 가격조정을 요구할 수 있는데 아직 문제점을 찾아내지 못하면서 가격조정 없이 대금을 모두 납부하기를 꺼려하면서 실사를 중단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래CS는 컨소시엄에 참여한 대우인터내셔널이 이미 7.7%를 보유하고 있어 매각 대상 중 나머지 지분 42.3%에 대한 가치로 1천955억원을 제안해 우선협상자가 됐다. 이후 컨소시엄은 본계약 체결과 함께 매매대금의 10%인 195억원가량을 매각 측 자문사인 산업은행과 HSBC증권에 납부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델파이 인수 파행을 가격차 보다는 보이지 않는 정치적 손이 작용하고 있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현 정권 실세와 차기 정권 실세의 알력이 있다는 풍문이다.
인수 초기부터 눈독을 들이던 한 유력 대기업이 우선협상자 지위에서 탈락한 것도 현 정권의 유력 인사를 내세운 탓에 미운털이 박혔다는 설에서부터 대우 컨소시엄 인수 난항 역시 숨은 실력자의 힘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애초부터 델파이가 인수 능력이 있는 대기업보다는 규모가 훨씬 적은 회사를 협상대상자로 선정한 것부터가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며 "우선협상자 역시 가격 핑계를 이유로 인수를 더디게 하고 있어 소문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검찰청, 경찰청, 감사원, 국세청 등 빅4 기관 중 한곳이 델파이 관련 조사에 착수하려는 의지는 있지만 정치권의 눈치를 보며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는 얘기가 들리고 있다"고도 했다.
이에 대해 한국델파이는 "회사측은 인수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며 언급을 피했다.
한국델파이는 연평균 매출이 1조원에 달하는 대구를 대표하는 자동차부품업체로 1984년 10월 대우자동차부품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사와 공동 출자해 설립됐다. 주로 전장부문과 조향장치, 브레이크 등을 공급하며 2008년 1조1천억원의 매출과 39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7천200억원 매출에 당기순손실로 수익이 하락했으나 최근 다시 살아나면서 지난해 매출 1조원을 회복했다.
미국델파이와 대우계열이 각각 지분 50%를 차지하고 있는 지역 알짜 기업으로 2008년 대우계열 지분 50% 매각이 추진됐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와 노사 갈등 등의 영향으로 중단됐다가 올해 다시 매각을 시도, 이래CS 컨소시엄이 우선협상 대상자 지위를 받았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