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더블딥(이중침체) 우려와 유로존의 재정위기 재부각에 따라 국내외 금융시장이 출렁이면서 원/달러 환율의 향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9일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5.60원 오른 1,088.10원에 거래를 마쳤다. 6거래일 연속 상승으로 이날 종가는 지난 6월 16일(1,089.90원)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환율 급등은 미 신용등급 강등 이후 제기된 더블딥 우려에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나며서 ▷코스피지수 급락 ▷역외 달러 매수 집중 ▷네고(달러 매도) 공백 ▷주식 역송금 수요 폭발 등이 어우러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외환시장의 주변 환경은 미국과 유럽의 위기가 진정되지 않는 이상 당분간 지속되며 원/달러 환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전문가들은 시장 수급에 특별한 변화가 없다면 환율은 이번 주 중 1,100원대 안착도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원/달러 환율은 주가 하락에 이은 투자자들의 달러 자산 선호에 따라 당분간 계단식 상승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외국계은행의 한 딜러는 "코스피가 5% 안팎의 급락세를 보인다면 환율은 당장에 1,100원대 안착을 시도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정부는 국내 펀더멘털(기초여건)이 견고하다며 최근 환율 급등세는 시장이 과민한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국내 7월 무역수지는 72억달러로 월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펀더멘털은 견고하다는 평가다. 외환보유액도 2008년 금융위기 당시보다 1천억달러 늘어난 3천억달러 규모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원화 자산을 매각하고 이를 달러로 환전해 나가면서 국내에 외화유동성이 급격히 위축된다면 환율은 걷잡을 수 없는 급등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조호정 현대경제연구원 선임 연구원은 "미국의 재정적자 문제가 지속되는 한 달러는 약세로 갈 수밖에 없다"며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은 외부 충격에 따른 것으로 우리나라가 (달러)유동성 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며 "우리나라 외환시장이 위기 때마다 흔들리는 것은 시장의 취약성 때문이지, 우리나라의 경제 펀더멘털 문제 때문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