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중반 한국대중음악계는 어느 시기보다 다양성이 주목되던 시기였다. 조용필의 전성시대로 막을 연 1980년대는 여전히 기성 가요의 주류시장 장악이 대세였지만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양식들이 일정 부분을 점유하기도 했다. 이 시기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우선 왜색과 퇴폐의 오명을 쓰고 비주류의 영역에 칩거하던 전통가요(트로트)의 부활과 댄스음악의 득세. 그리고 언더그라운드 음악이 미디어와 대중들의 관심을 받게 되는 점이다. 특히 언더그라운드 음악은 의도적으로 좌절되었던 1970년대 청년문화의 부활을 보여주는 듯해 흥미롭다.
당시의 언더그라운드 음악은 주로 포크 음악 계열의 생태계에서 진화했다. 들국화나 신촌블루스, 김현식과 봄여름가을겨울처럼 밴드가 중심에 있기는 했지만 이들 밴드 멤버의 구성원들도 통기타 문화의 혈통을 지니고 있었다. 여기에 당시는 불법적인 활동이었지만 운동권 음악으로 불렸던 참여음악도 다분히 포크의 정서였다. 이런 시기 가장 독창적이면서 심오하기까지 한 포크 순혈주의자가 등장하는데 바로 '김두수'다.
김두수는 대구 신천동에서 태어나 청소년기까지를 대구에서 보낸다. 어린 시절 음악적 재능을 보이고, 부친이 음악을 반대하고, 공부에 흥미를 잃고, 대학 진학 후 방황의 길을 걷는다. 여기까지는 대충 언더그라운드 영웅담의 전형쯤으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방황의 길에서 김두수는 자연과 소리에 심취하게 된다. 그저 풀피리 하나와 통기타 그리고 걷는 길 내내 동반하던 자연은 김두수의 음악세계를 만들어 주는 근간이었다. 이는 이후 김두수 음악세계에서 보여지는 소리에 대한 구도적 자세를 만들어 주는 힘이기도 했다.
방황의 시간을 보내고 녹음된 데뷔 앨범은 1986년 공개된다. 당시 유명한 피디메이커였던 제작자 '킹 박'은 김두수의 곡을 몇 소절 듣지도 않고 앨범 제작을 제안했다. 앨범에 실린 '귀촉도'는 미당 서정주의 시를 노래했는데 미당 역시 마다하지 않았다. 신중현이 자신이 쓰던 유명한 통기타를 주었다는 일화도 있다.
순탄할 것 같았던 데뷔앨범은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과 맞닿게 된다. 앨범에 수록된 곡들은 심의불가에 부딪혀 제목과 내용을 바꿔야했고 앨범 커버도 원래의 의도와 달라졌다. 김두수는 또다시 방황하게 되지만 1년 후 당시 언더그라운드 음악의 메카였던 동아기획이 새롭게 앨범을 제작했고 원래의 의도는 부활한다.
어렵사리 원하는 형태로 1집을 공개했지만 오랜 방황으로 얻은 병마는 김두수를 멈추게 했다. 요양과 칩거를 반복하면서 김두수의 이름은 잊혀지는 듯했다. 하지만 김두수는 2집 '약속의 땅'과 3집 '김두수'를 수년의 터울로 발표했고 한국포크음악의 진보를 완성시켰다. 그리고 자비로 만든 4집 '자유혼'에서 김두수 음악의 완전한 정체성을 이뤄냈다. 그 김두수가 어느 정도 건강을 회복하고 다시 활동을 하고 있다. 여섯 장의 앨범을 통해 유토피아와 자유영혼을 유감없이 보여준 구도자를 대중들은 기억해야 할 것이다.
권오성 대중음악평론가 museeros@gma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