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준설 문제점 철저히 파악해 보완하라

입력 2011-07-06 11:08:04

정부가 5일 낙동강 등 4대강을 지나는 각종 관로에 대해 전수조사하고 교량도 일제 점검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국토해양부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4대강 유역의 각종 관로 이설 및 보강 공사를 하고 교량에 대해서도 추가 보호공 공사를 하기로 했다. 낙동강 준설의 여파로 송수관로가 파손돼 두 차례나 구미 단수사태가 벌어지고 왜관 호국의 다리가 무너지는 등 사고가 잇따르자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뒤늦게나마 당국이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안전 대책을 마련한 것은 다행한 일이다. 하지만 4대강 사업에 앞서 이 같은 부작용과 문제점을 미리 파악해 충분히 대비하지 못하고 별다른 조치 없이 사업을 강행해 재앙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여론의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이런 뒷북 행정이 주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관계 기관들이 부인하고 있지만 "낙동강 사업에 맞춰 실시한 송수관로 이설 공사가 부실에다 문제점투성이였다"는 당시 공사 관계자의 증언이 나오고 있어 이번 안전 대책도 말만 대책이지 용두사미가 되지 않을까 우려되는 것이다.

현재 낙동강 사업 구간에는 송유관을 위시해 상'하수도관, 전기'통신'가스관 등 모두 22개의 각종 관로가 매설돼 있고 교량도 50개에 이른다. 특히 낙동대교 인근 상류에는 대형 송유관까지 매설돼 있어 더더욱 안전 점검과 보완 등 대비에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

늦었지만 정부와 관계 기관은 낙동강 준설 등 자연환경 변화가 몰고 올 각종 문제점들을 더욱 면밀히 조사해 주민들이 두 번 다시 피해당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대충대충 눈가림식으로 대처하다 일 터지고 허둥대는 졸속 행정을 더 이상 되풀이하지 않아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