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송수관 사태로 정부 비상…"4대강 전역 긴급점검·보강공사"
'송유관이 터져 강으로 기름이 흘러나오고, 가스배관이 파손돼 가스가 누출됐더라면….'
낙동강 준설에다 태풍과 장마로 쏟아진 비로 수량이 늘고 유속이 빨라지면서 칠곡 호국의 다리가 붕괴되고, 구미 송수관로가 파손되는 등 사고가 잇따르면서 정부가 4대강사업 구간 횡단관로와 교량 보호에 비상이 걸렸다. 관계기사 8면
낙동강사업을 통한 하도 준설로 낙동강을 횡단하는 각종 관로의 파손 우려가 높다는 지적(본지 4일자 1면 보도)과 관련, 정부가 낙동강 등 4대강의 횡단관로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고, 교량에 대한 일제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5일 오후 국토해양부 소회의실에서 국토해양부 제1차관 주재로 4대강추진본부와 지방국토관리청, 수자원공사 4대강사업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4대강사업 구간 내 횡단시설물 보강 추진현황 점검 및 보완대책을 위한 '4대강 횡단시설물 안전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지난달 25일 칠곡 왜관읍 호국의 다리 붕괴에 이어 지난달 30일 구미 해평광역취수장에서 구미국가산업 4단지 배수지로 이어지는 송수관로 유실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열렸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낙동강 등 4대강을 횡단하는 각종 관로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이기로 결정하고 조사결과에 따라 이설 및 보강공사를 하기로 했다.
현재 낙동강사업 구간에는 대구, 구미, 칠곡 등 지역에 송유관, 가스, 상'하수도, 전기, 통신 등 22개의 각종 관로가 강바닥에 매설돼 있다. 특히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가는 낙동대교 상류 100m 지점에는 대한송유관공사의 대형 송유관이 매설돼 자칫 강 준설로 관로 훼손에 따른 기름 유출 사고가 우려돼 관로 점검과 보완 등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의 4대강 횡단관로 전수조사와 함께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왜관 호국의 다리 붕괴 이후 각 공구별로 설계용역사와 감리단, 외부전문가 등으로 조사단을 구성해 낙동강 사업구간 교량 50개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섰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교각보호공 이외의 나머지 교각에 대해 안전점검을 벌인 뒤 추가 보호공 시행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경상북도는 이달 2일 국토해양부 한만희 제1차관이 구미 광역상수도 누수사고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단수 피해 최소화 및 신속한 복구를 위한 누수사고 복구 태스크포스(T/F) 구성 운영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수자원정책관을 팀장으로 한 구미광역상수도 '누수사고 복구 T/F' 조직을 부산청, 수자원공사, 경북도, 구미시 등 관계기관 실무진 21명으로 구성해 누수사고 복구완료시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경북도는 '누수사고 복구 T/F'가 효율적으로 운영돼 하루빨리 복구공사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경북도 김성현 낙동강살리기사업팀장은 "낙동강을 횡단하는 각종 관로가 파손될 경우 엄청난 피해가 예상된다"며 "국토부 4대강 횡단시설물 안전점검 회의 결과에 따라 낙동강사업 구간 내 횡단시설물 보강을 적극 추진해 낙동강사업장 내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