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만 부치기에는 너무 아름다운 부채" 부채와 한지그림 전시 축제

입력 2011-07-01 07:19:51

호남 부채 장인들 제작 시현행사도

나염 부채
나염 부채
안선(기러기 깃털로 만든 부채)
안선(기러기 깃털로 만든 부채)

'부채와 한지그림 전시 축제'가 3일까지 대구 중구 중앙도서관 1층 가온갤러리에서 열린다. 길 디딤돌과 마중물 모임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전통 부채에 관한 전통 명인과 장인, 명장, 무형문화재, 부채 작가 등의 아름답고 귀한 한지 전통 부채를 감상할 수 있는 자리다.

특히 이번 전시는 '우리 부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해볼 수 있는 자리다. 현재 시중 부채의 90% 이상이 중국산이 점령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나무는 잘 휘어져서 한지를 두 겹만 발라도 돼 시원하고 가볍지만 반면 중국산 대나무로 만든 부채는 잘 부러져 한지를 네 겹을 부쳐야 부채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부채살만 연간 50만 개 만들어오던 지리산 '죽호바람'도 이제는 겨우 수만 개의 부채를 공급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한다.

윤록경 씨는 "부채를 만들다 보니 점점 우리 전통 부채에 관심을 기울이게 됐다"면서 "부채를 이용하면 에너지 절약도 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 부채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게 돼 일거양득"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전시에는 광주 운림제 한지부채박물관 작품 300여 점을 대구로 옮겨와 귀한 부채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부채살만을 전시하기도 해, 부채에 관한 여러 가지 자료를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는 합죽선 제작 전 과정 기능 보유자 이완생, 무형문화재 선자장 태극선 대가 죽전 조충익, 한산모시로 만드는 나비선 선녀선 유진순 작가, 하죽선 대가 김동식 등 부채 대가들이 참가한다.

한편 1일 전시 오프닝에는 지리산 구례 단선제작 전과정 기능 보유자 정말남 씨와 김주용 작가의 부채 제작 시현이 진행된다. 이번 전시가 끝난 후 9월까지 연장 전시할 계획이다. 011-9362-0052.

최세정기자

사진'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