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국내외 망신' 대구시체육회관

입력 2011-06-22 10:44:01

대구시민야구장과 대구시청 청사는 인구 250만 명의 대구광역시 이미지를 흐리게 하는 주요 시설로 꼽힌다. 대구시는 6만 명 이상의 관중을 수용하는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주경기장 대구스타디움을 세계에 자랑하고 있지만, 오래돼 낡고 협소한 야구장(1만 명 수용) 때문에 자존심이 상해왔다. 시 청사 또한 일부 기초자치단체의 청사보다 규모와 시설이 못해 시민들이 민원 업무에 불편을 겪고 있다.

그런데 이들 시설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구시의 이미지를 국내외에서 갉아먹는 형편없는 시설이 있다. 대구 북구 고성동 3가 2번지, 대구시민야구장 3루 외야석 끝 부분 도로변에 자리 잡은 대구시체육회관이다. 1979년 지어진 지하 1층, 지상 4층의 이 건물엔 대구시체육회 사무처와 약 20개의 가맹 경기단체가 입주해 있다.

대구의 체육 업무 대부분을 관장하는 이 건물은 대구 체육의 얼굴이다. 하지만 건물 내부를 들여다보면, 너무 좁고 낡아 대구 체육을 알리는 1번지로는 부끄러운 체육회관이다. 관리 실수로 침수 피해를 겪은 지하층은 아예 사무실 역할을 하지 못하며 상당수 경기단체 사무실은 창고처럼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체육인들은 "국내외 손님들로부터 창피를 당하고 있다"며 "체육회관이 아예 없는 게 더 낫다"고 공공연히 얘기하고 있다.

지난 4월과 5월 대구국제마라톤대회와 대구국제육상경기대회가 열렸을 때 얘기다. 상당수 외국인들이 대회 출전 협의를 위해 이곳을 찾았다 놀란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 건물 복도에서부터 어두침침한데다 사무실이 좁아 앉을 자리조차 마땅찮았기 때문이다. 일부 외국인들은 대구시체육회를 잘못 찾아온 줄 알고 돌아가려고 했다는 것이다.

마라톤대회 참가 협의를 위해 이곳을 찾은 한 일본인은 시체육회 관계자에게 "2002년 월드컵과 2003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치른 도시인 만큼 각종 체육시설이 잘 갖춰져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정말 체육회 사무처가 맞느냐"고 되물었다고 한다.

내년 대구에서 열리는 전국체전 업무 협의를 위해 이곳을 찾고 있는 대한체육회와 다른 시도의 체육 관계자들도 체육회관의 초라한 행색을 보고는 "이해할 수 없다"는 말을 하고 있다.

게다가 대구시체육회관에는 눈총을 받는 시설이 두 곳 있다. 2층의 대구시체육회 회장실과 3층의 대구시태권도협회 사무실로, 하루빨리 없애야 하고 바로잡아야 할 시설이다. 시체육회 회장실은 시체육회 사무처의 절반 이상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연중 문이 열리는 날은 손꼽을 정도다. 당연직으로 시 체육회장을 맡고 있는 대구시장이 이곳을 찾을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만약 대구시장이 회장실과 사무처를 한 번쯤 둘러봤다면 자신의 방을 없애라고 하지 않았을까. 오랜 기간 시체육회를 수시로 찾았지만 회장실에서 대구시장을 본 적이 없다. 다만 청소를 위해 방문이 열리는 것만 봤다. 경북 등 전국의 대다수 시도 체육회 사무처는 회장실을 따로 두지 않고 있다.

또 대구시태권도협회는 사무실 두 개를 임의로 개조해 사용하고 있다. 경기단체 중 상대적으로 살림살이가 좋음에도, 시태권도협회는 외부에 따로 사무실을 마련하지 않고 이곳에서 주인처럼 큰 공간을 차지해 비난을 사고 있다.

이런 실정에도 시체육회가 새로운 사무처를 마련하지 못하는 것은 대구시 공무원들의 체육에 대한 무관심과 몰이해 탓이다. 시체육회 사무처는 대구시의 체육업무 담당자들이 거의 매년 바뀌는 관계로 원활하게 사무처 이전 계획을 수립할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300억 원의 체육기금을 보유하고도, 대구시가 돈줄을 쥐고 있기에 사무처 이전을 직접 추진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대구시의 체육 업무 담당자들은 체육회관을 새로 짓거나 대구스타디움 등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이를 구체화하지 않는다. 가만히 있어도 누가 탓하지 않는데다, 관심을 가져도 득이 될 일이 없어서다.

내년 대구에서는 1992년 이후 20년 만에 전국체전이 열린다. 전국의 체육인 수만 명이 대구를 찾는데, 체육회관 때문에 망신을 사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새로운 체육회관 마련을 위한 대구시의 장'단기 대책이 모두 필요하다.

김교성(스포츠레저부장)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