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씨앗은 뿌린대로…
술자리를 즐기는 남자들끼리 불문율처럼 지키는 말이 있다. '술자리에서 있었던 일은 밖에서 말하지 않는다.' 술 한 순배가 돌면 서로 살아가는 이야기가 나오고, 두 순배를 마시면 정치 이야기가 술상에 오르고, 세 순배를 털어 넣으면 자기자랑이 나오고, 네 순배쯤엔 누군가를 도마 위에 올려놓고 난도질이 시작된다. 이 때문에 술자리 말은 거기서 끝내는 게 좋다.
◆싸움을 부르는 부정어
그런데 술이 몇 순배 돈 뒤 꼭 고함소리가 나는 자리가 있다. 시시껄렁한 주제로 의견다툼이 생기는 경우다. 가만 듣고 보면 참 우습게도 서로 다른 말을 하는 게 아니다. 결국 "내 말이 그 말인데 왜 자꾸 엉뚱한 소리를 해"라며 끝이 난다. 이런 상황이 생긴 대화를 곱씹어보면 이렇다. 가령 A씨는 "반값 등록금 때문에 난리야. 웬 등록금이 그렇게 비싸!"라고 말거리를 꺼낸다. B씨는 "그게 아니라, 등록금을 받아서 어디에 쓰는지 제대로 안 밝히니까 문제지"라고 되받는다. A씨는 다시 "아이 둘 대학 졸업하면 빚더미에 오를 판이야"라고 말하고, B씨는 "아니 들어보라니까. 너나 할 것 없이 다 대학 간다고 설치는 것도 문제야."
이런 대화가 몇 차례 오가자 A씨는 "넌 왜 말끝마다 토를 달아. 내 말이 틀렸어?"라며 벌컥 화를 낸다. B씨도 이에 질세라 "그게 아니라 자꾸 네가 한쪽만 이야기하니까 그렇지. 그렇게 따지면 내 말은 뭐가 틀렸냐"라고 반격한다.
어찌 됐건 등록금 문제가 심각하다는 데 동감하면서 두 사람은 왜 싸움소처럼 뿔을 세우게 됐을까? B씨의 말버릇 때문이다. 습관처럼 말머리에 '아니' '그게 아니라' '들어보라니까'를 반복한다. 결국 자신도 같은 말을 하면서 앞사람 말을 습관처럼 부정하고 나서야 자기 말을 시작한다. 반대로 '그래' '그럴 수도 있어' '맞아. 그것도 문제야'는 식으로 앞사람 말을 일단 긍정하면, 뒤에 부정적인 말을 덧붙여도 앞사람은 뒷사람에게 적대감을 갖지 않는다. 술자리 일은 나중에 말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B씨처럼 말끝마다 부정어를 남발하면 결국 이런 말을 듣는다. "그 사람은 피곤해. 대화가 안 돼. 별로 보고 싶지 않아."
◆부부 사이의 '넘겨짚기'식 대화
부부 사이도 다를 게 없다. 다툼이 잦은 부부일수록 '아니' '틀렸어'라는 부정어가 난무한다. 서로를 잘 안다는 오해 속에서 '넘겨짚기'가 성행한다. 대화는 어느덧 엉뚱한 산꼭대기로 향하고, 서로 다른 산 정상에 올라서 "당신과는 도저히 말이 통하지 않아"라며 핏대를 세운다. 장을 보던 한 부부의 대화를 들어보자. 아내는 "10만원을 들고 와도 살 게 없네."(물가가 너무 비싸다는 뜻)라고 말하자 남편은 "형편껏 사는 거지. 남들도 똑같아."(월급 작다고 불평하지 말라는 뜻)라고 응수한다. 이런 대화도 있다. 아내가 "당신은 요즘 행복해?"(고민이 있으면 말해 봐. 들어줄게)라고 묻자 남편은 "행복하고 말고가 어디 있어. 그냥 사는 거지."(쓸데없이 불만 털어놓지 마. 틈만 있으면 불평불만이야. 제발 좀 조용히 살자)라고 말꼬리를 끊어버린다.
부부끼리 '넘겨짚기'식 대화를 한다는 데 대한 연구결과도 있다. 부부는 대체로 서로의 마음을 잘 알기 때문에 남보다 말이 더 잘 통하고 대화를 잘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낯선 사람과의 대화보다 그다지 나을 게 없다는 것.
올 초 미국 '실험사회심리학 저널'에 한 실험결과가 소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윌리엄스칼리지 심리학과 케네스 사비츠키 교수는 부부 22쌍에게 서로 등을 돌리고 앉은 뒤 배우자가 건넨 다소 모호한 말이 무슨 뜻인지 맞히는 게임을 했다.
실험에 참여한 부부들은 배우자의 말을 전혀 엉뚱하게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가령 아내가 남편에게 에어컨을 켜라는 의미로 "여기가 좀 덥다"고 말하자 남편은 아내의 말을 성적 암시로 받아들였다는 것. 연구진은 "부부가 서로의 말을 잘 알아듣는다고 확신하지만 낯선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것과 차이가 없었다. 자신들이 생각하는 만큼 이해하지 못한다"고 했다.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한다면 자기의 말 습관을 제3자 입장에서 곰곰이 곱씹어봐야 한다. 습관적인 부정어의 남발은 지나친 자기중심적 사고 때문이고, 넘겨짚기식 응대는 자기를 비난한다는 피해의식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김수용기자 ks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尹 지지율 46% 나와…2030 지지율도 40%대 ↑"
박수현 "카톡 검열이 국민 겁박? 음주단속은 일상생활 검열인가"
'카톡 검열' 논란 일파만파…학자들도 일제히 질타
이재명 "가짜뉴스 유포하다 문제 제기하니 반격…민주주의의 적"
판사 출신 주호영 국회부의장 "원칙은 무조건 불구속 수사…강제 수사 당장 접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