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이 가장 왕성한 핵심생산가능인구(25~49세)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의 인구총조사 결과 지난해 핵심생산가능인구는 1천953만 명으로 5년 전 조사 때보다 36만여 명이 줄었다. 지난 1949년 인구총조사를 실시한 이래 처음이다. 인구 감소의 악몽이 핵심생산가능인구부터 시작된 것이다.
저출산 때문이다. 인구 감소를 막으려면 여성의 합계출산율(가임 기간 중 낳는 아이 수)이 2.1명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 4.53명에서 지난해 1.22명으로 급락했다. 이것도 그나마 정부가 출산 장려 정책을 편 덕분이다. 2005년 합계출산율은 1.08명이었다. 이런 추세라면 전체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감소 시점(2017년)과 전체 인구 감소 시점(2019년)도 앞당겨질 것이란 우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핵심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한마디로 국가적 재앙이다. 우리보다 앞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 일본이 총체적인 활력 저하로 국가경쟁력이 추락하고 있는 현실은 이를 잘 보여준다. 생산인구의 부족은 생산력을 떨어뜨리고 구매력 저하를 불러온다. 잠재성장률이 저하돼 경제는 구조적인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세금 낼 사람이 적은 반면 복지비는 늘어나 국가 재정은 만성적인 적자에 빠지게 된다. 이로 인해 각종 정책 수립이 차질을 빚는 등 국가 경영은 근본부터 뒤흔들릴 수밖에 없다.
인구는 감소세로 돌아서면 되돌리기 어렵다. 치밀한 대책과 정책으로 대응해도 그렇다. 그런데도 우리는 이렇다 할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솥 안에서 서서히 삶겨 가는 개구리 꼴이다. 기존의 인구 정책을 근본부터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시간이 별로 없다. 불과 6, 7년 후면 인구는 감소한다. 이것이 우리가 직면한 현실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