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총조사' 20여일째…사업주 민감한 질문 답변 꺼려
"작은 구멍가게까지 모두 찾아갑니다."
10일 오전 10시 대구 중구 골목 안 슈퍼. 담배와 과자, 음료수, 주류 몇 가지가 전부인 작은 가게의 주인 할머니가 버럭 화를 냈다. "아침부터 재수 없게." 조사원 최미경(38'여) 씨는 할머니의 호통에도 웃음을 잃지 않았다. "할머니, 좋은 정책을 만들기 위해서 몇 가지만 여쭤보는 거예요." 하지만 할머니는 완고하게 가게 밖으로 최 씨를 쫓아냈다. 최 씨는 "이 정도면 양호한 편이다. 듣기에도 민망한 욕을 하시는 분들도 있다"며 다음 가게의 문을 두드렸다.
'경제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한 '2011 경제총조사'가 20여 일째 접어들었다. 하지만 사업체들의 인식 부족으로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매출이나 영업이익 같은 다소 민감한 질문을 하다 보니 사업자들이 답변을 꺼려하는 것.
통계청이 올해 처음으로 실시하는 경제총조사는 경제 전반에 대한 고용, 생산, 비용 등에 관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사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계 프로젝트다. 전국 전체 330만 사업체를 대상으로 예산 528억원이 투입되고 조사원이 전국적으로 2만2천 명에 달한다.
조사원 경력 5년차인 정명화(52'여) 씨는 "하루 10여 곳 이상을 방문하지만 답변을 받을 수 있는 곳은 절반에 그치고 있다"며 "매출 이야기를 꺼내면 대부분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 규모 측정을 위해 매출이나 영업이익 같은 민감한 부분에 대한 조사도 함께 이뤄져 사업체들이 답변을 꺼리기도 한다. 혹여 세금 추징 자료로 이용될까 우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사 결과는 경제 상황을 측정하는 통계 자료로 처리된 뒤 폐기된다. 통계법 33조에 따라 통계 작성 외의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통계청 관계자는"사업자들이 최근 종합소득세 확정 신고와 맞물려 세금에 관련된 조사라고 오해한다"며 "하지만 조사 결과는 절대 다른 자료로 사용되지 않으니 안심하셔도 된다"고 말했다.
조사원이 방문해 응답자를 만나 조사표를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업체에서 원할 경우 인터넷 조사나 응답자 직접 기입도 가능하다.
현재 대구의 조사 진행은 60% 정도로 다른 시'도에 비해 다소 낮은 편이며 방문조사는 24일까지 진행된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