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경제성만 따져선 안돼"
"한우는 반만년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해온 한국의 유산입니다."
전영한(사진) 전국한우협회 대구경북지회 회장은 "한우를 기르는 것은 무형의 가치가 큰 만큼 경제성 논리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장기 구제역 파동으로 만연한 한우 불신 풍조가 아쉽고 전통이 무너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한우는 대대로 한국 농경사회의 한 축이었고 민족 전통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무형문화재라는 게 그의 소신. 전 회장은 이어 "구제역으로 매몰 처리된 소는 전체 사육 두수(300만 두)의 5%에 지나지 않는다"며 "한우 낙농가들이 정말 두려워하는 것은 막연한 거부감만으로 한우를 꺼리는 소비 심리"라고 말했다. 구제역에 감염된 쇠고기라도 잘 익혀 먹으면 인체에 무해한데도 사실이 부풀려진 현실이 개탄스럽다는 것.
그는 특히 한우 불신 심리는 결국 수입육 증대를 가져와 한우 유통구조와 토종 밥상의 붕괴를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구제역 파동 이후 미국산 쇠고기 등 수입육 수입이 엄청나게 늘고 있습니다. 한번 빼앗긴 시장은 좀체 회복되지 않는다는 현실에 비춰 볼 때 소비자들이 한우에 대한 애정을 쏟지 않는다면 토종 밥상에서 한우가 영영 사라질지도 모릅니다."
최근 구제역이 발생하면 축산 농가의 대처 여부에 따라 보상금을 최대 80% 깎는 정부 방안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전 회장은 "축산업은 단순한 산업이 아닌데 정부가 지원은 못해줄망정 오히려 축산 농가에 부담을 지우려 하고 있다"며 "경북 농촌을 중심으로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연착륙시킬 수 있는 산업이 역시 축산업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축산업이 농촌으로 젊은 인력을 끌어들일 수 있는 흡인 산업인 만큼 축산업을 정부 지원 아래 잘 키우고 가꿔야 농촌이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경북 한우 인프라에 대한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대구경북은 전국 한우 두수의 25%인 70만 두를 생산하고 농가도 4만7천 농가나 될 정도로 축산 기반이 잘 다져져 있다"며 "대구경북의 한우 산업은 전국 어디에 내놔도 뒤처지지 않을 정도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지회가 앞장서 한우의 메카라는 자존심과 전통을 지켜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