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자폐장애 진단, 치료 위한 시스템 만들어야

입력 2011-05-11 11:17:45

미국 예일대 소아정신과 교수팀과 국내의 어린이 사회성 발달 연구소가 경기도 고양시의 초등학생 5만 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결과 자폐장애 증세를 보인 학생이 40명 중 한 명꼴로 나타났다. 이를 역추산하면 국내 중학교 이하 학생 중 11만 명이 어떤 형태로든 자폐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에 따르면 자폐장애는 생후 18~24개월이면 진단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아이가 부모와 눈을 잘 맞추지 못하거나 아이답지 않은 이상행동을 보이면 병원의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자폐장애는 완치가 어렵지만 조기 진단을 하면 어느 정도 사회성을 키울 수 있고, 맞춤 교육도 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 부모가 모르고 지나치거나, 장애를 알리는 것이 두려워 쉬쉬하는 것이 현실이다.

자폐장애아의 숫자가 심각한 수준이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찾기 어렵다. 전문가도 부족하고,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기관도 거의 없다. 보건 당국은 자폐장애가 있는 사람의 숫자 파악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성인을 포함해 1만 2천여 명이 자폐성 장애를 겪고 있다고 돼 있다. 현실과 너무나 동떨어져 있으니 심각성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대책도 못 세우는 것이다.

다른 장애도 마찬가지지만 자폐장애는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우선 정부는 자폐장애 인원 파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와 함께 대도시를 중심으로 거점 병원을 선정해 조기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긴밀한 협조가 필수다. 부모는 아이의 이상행동을 감추지 말고 늦기 전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또 주변에서도 이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잘 살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