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 대구 유치후… 예산, 다시 확 늘려야

입력 2011-05-11 10:10:12

한국뇌연구원의 대구 유치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2009년 11월 최초 사업 제안서 제출 이후 치열한 유치 경쟁에 나섰던 인천'대전시가 지자체 사업비 부담과 '대구 내정설'로 막판 유치 포기를 선언한 것.

지역 과학계는 한국뇌연구원의 대구 '무혈' 유치를 반기면서도 경쟁 지자체의 막판 포기 선언 배경에 주목하며 정부 국비 지원에 대한 대구경북 정치권의 역할과 과학벨트 연계 육성을 주문하고 있다.

◆인천'대전 포기 배경

인천과 대전시는 11일 한국뇌연구원 유치 포기 배경에 대해 "중앙정부의 사업 추진 의지가 의심스러운 데다, 연구원 입지가 이미 대구로 내정됐다는 얘기가 많아 들러리 설 필요가 없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여기에 지자체 사업비 부담이 걸림돌이 됐다. 땅값을 제외한 사업비 가운데 약 40%, 500억원 정도를 지자체가 부담해야 하는 것.

인천과 대전의 갑작스런 포기에 따라 컨소시엄 파트너들의 불만도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인천시와 컨소시엄을 이룬 서울대 측은 타 지자체와 다시 컨소시엄을 이뤄 응모할 기회를 정부에 요청했으나 거절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과학계는 "대구 뇌연구원 유치에 여러모로 운이 따랐던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객관적으로 보면 대구보다 서울이나 대전 등지 뇌과학 전문가를 무시할 수 없다. 대구가 단독 심사를 거쳐 뇌연구원 유치를 확정하더라도, 서울'인천'대전 등 타지역 대학이나 연구기관과 적극 공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대구시 과제

선진국들은 이미 20세기 말부터 '뇌(腦) 연구'라는 미지의 신성장 기술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엄청난 지원을 쏟아붓고 있다. 그러나 한국뇌연구원 경우 2009년 11월 당시 3천억원에서 1천288억원까지 사업 규모가 축소됐고 국비 지원 역시 600여억원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역 과학계는 "뇌연구 분야는 IT나 BT 등 타 기술분야와 동반 발전이 가능한 신성장 산업으로, 고령화 사회 추세에 따라 전폭적 예산 지원이 그 어느 분야보다 시급하다"며 "뇌 연구원 유치 이후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이 예산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뇌 연구 분야의 핵심이 '융합기술' 개발에 있다는 점에서 역시 상반기 중 입지가 결정나는 국과과학벨트와의 연계를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과학벨트는 국가 기초과학의 토대를 이루는 대형 프로젝트로, 모든 융합산업의 기초 인프라. 지역 과학계는 뇌연구원과 입지가 가까운 대구경북에 과학벨트가 유치되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과학계는 "KAIST(대전)가 신약으로, 광주가 광(光)으로 특성화해 국가의 미래신성장동력을 견인하듯, 대구시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뇌로 특성화해 낙후된 지역살리기와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며 "이제 뇌 연구원 유치 이후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