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10일 베를린에서 독일 통일 당시 서독과의 통일협상을 이끈 로타르 드 메지에르 전 동독 총리 등 통독 주역들과 간담회를 갖고 통일 당시의 경험을 청취하는 등 '통일 행보'를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에서 "대한민국에 있어서 통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필연적인 과제이고 그런 통일을 위해 준비를 잘해야 한다"면서 통일에 대비한 통일재원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해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우리 국민 중에서 워낙 남북 간에 경제적인 격차가 크다보니까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을 수 있지만 결국 길게 보면 통일은 긍정적인 면이 많다. 그래서 우리는 통일을 준비해야 한다"며 통일재원 마련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국민적인 공감대를 얻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이 대통령의 평소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독일 측 참석자들이 통일재원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데 따른 것이다. 이들은 "분단 당시 서독이 동독 주민들의 고통을 경감시켜주기 위해 대규모 차관을 지속적으로 제공했지만 당장 눈에 드러나는 효과가 없어서 서독 내에서 치열한 논쟁이 통일되는 순간까지 지속됐다"며 "독일은 통합을 위해 1990년부터 4년간 1200억마르크가 필요하다는 초기 판단이 있었지만 현실은 매년 1500억마르크가 소요됐다. 독일 국민은 통일 후 지금까지 20년간 통일세를 납부해 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독일의 경우 통일 이후 통일재원을 마련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지금 상황에서 사전에 경제적 소요를 예측해서 탈북자 문제와 북한 주민의 지원과 교육'복지'의료 문제에 대한 사전 계획과 대비를 한다면 독일이 겪었던 많은 시행착오와 경험들을 피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이들은 이어 "통일의 관건은 한민족이라는 믿음"이라며 "어떤 외부사정이나 대내외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갈라져 있는 동족이 한민족이라는 결속력이 있느냐 없느냐가 역사 속에서 통일을 보장하느냐 못하느냐의 가장 중요한 열쇠"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오는 10월 서울에서 열리는 한'독 통일자문회의 1차 회의에 이들 통독 주역들을 초청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메지에르 전 총리와 통독 당시 서독 내무장관으로 통일 조약에 서명한 볼프강 쇼이블레 현 재무장관, 호르스트 텔칙 콜 총리의 외교보좌관, 동'서독 군 통합을 주도한 외르크 쉔봄 전 독일 국방차관 등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프랑크푸르트로 이동, 독일 주요 기업 경영자들을 만나 지속적이고 점증적인 대(對)한국투자를 당부한 데 이어 11일 덴마크를 국빈 방문한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