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 체육부대 공사, 제때 완공될까

입력 2011-04-22 10:19:48

금동불상 등 유물 대거 출토…일부 보존·추가 조사 불가피

통일신라시대 금동보살과 고려청자 등 유물이 무더기로 발견된 국군체육부대 건립공사현장 3구역. 다음 달 열릴 문화재청의 심의에서 보존 여부가 결정된다.
통일신라시대 금동보살과 고려청자 등 유물이 무더기로 발견된 국군체육부대 건립공사현장 3구역. 다음 달 열릴 문화재청의 심의에서 보존 여부가 결정된다.
21일 국군체육부대 공사현장에 있는 영남문화재연구원 사무실에서 촬영한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 7점.
21일 국군체육부대 공사현장에 있는 영남문화재연구원 사무실에서 촬영한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 7점.

문경 국군체육부대 이전 건립공사 현장(3구역)에서 무더기로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과 절터 등 유적 발굴(본지 21일자 5면 보도)을 놓고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다음 달 열릴 문화재청 심의 결과 확대조사와 보존으로 가닥이 잡힐 경우 국군체육부대 공사가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영남문화재연구원이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국군체육부대 이전 터를 발굴조사한 결과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 7점, 고려청자 등 유물 238점과 절터 2곳 등이 발견됐다.

고고학자 등은 21일 발굴현장에서 "금동불상 7점 중 6점이 통일신라시대, 1점이 고려시대 불상이며 금동여래입상 1점과 금동보살입상 1점은 부식도 심하지 않고 정교하게 제작돼 한국 불교 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보물이 나왔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 "단일 유적에서 통일신라시대 불상이 동시에 발견된 것도 중요한 가치를 가질 뿐 아니라 고려청자와 분청사기, 조선백자가 출토된 절터와 우물터 등 일부 유적은 보존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밝혔다.

영남문화재연구원 권헌윤 연구원은 "발견된 오정사(烏井寺)라는 사찰 터의 전신이 '광림사'(廣林寺)로 추정된다. 특히 이 사찰들이 통일신라시대 이후부터 고려시대 중'후기까지 증'개축을 하는 과정에서 지역 토호세력들이 '호신불'로 간직하고 있던 불상을 대웅전에 묻은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절이 당시 상류층 신도들을 거느린 규모가 큰 주요사찰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관습에 따라 많은 유물들이 매장된 것으로 보여 고려청자 등 훌륭한 역사적 가치가 있는 추가 유물 출토가 예상된다"며 추가조사를 벌이고 있다.

문화재청은 다음 달 열릴 문화재위원회에서 국군체육부대 이전 터에 대한 확대조사와 보존을 결정할 경우 문화재조사기간을 연장하고, 일부 설계변경 등을 통한 건설계획 변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경'고도현기자 dor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