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터지고야 말았다. 하루라도 빨리 좋은 시설에서 야구를 즐겼으면…."
16일 삼성 라이온즈와 두산 베어스 경기 도중 정전사태로 경기가 중단되자 이구동성으로 터진 말이다. 대구시민야구장은 1948년 지어진 건물로 2006년 안전진단에서 E등급을 받는 등 전국에서도 대표적인 낙후구장이다. 야구장 신축 필요성이 제기돼 왔지만, 올 2월에야 겨우 부지를 확정하는 등 새 야구장 건립계획이 마련됐다.
대구시는 수성구 도시철도 2호선 대공원역 일대에 사업비 1천500억원을 들여 2만5천 석 규모로 새 야구장을 건립하기로 하고, 지역 연고팀인 삼성과 500억원을 투자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새 야구장은 2014년 하반기쯤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날 대구구장에서 빚어진 정전사태로 조기 완공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삼성은 이번 사태 이전부터 대구시에 새 야구장의 조기 완공을 요청했다. 삼성 관계자는 "프로야구 열기가 고조되고 있어 새 야구장을 2014년 시즌 개막 때부터 사용할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대구시에도 조기완공 의지를 가져줄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대구시도 이번 사태로 새 야구장의 조기 완공을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면목 없는 일이 발생했다. 새 야구장 건립이 확정된 만큼 행정절차를 앞당길 방안과 조기 완공 방법들을 면밀히 검토해 좋은 시설에서 선수들과 팬들이 하루빨리 야구를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당장 이른 시간 내 새 야구장 부지의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정부에 촉구하고 야구장 설계단계부터 공사기간을 앞당길 방법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이번 정전사태는 조명탑의 변압기 고장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구장에는 모두 6개의 조명탑이 있고 조명탑마다 변압기가 한 대씩 설치돼 있다. 조명탑 가운데 한 곳에 부하가 발생하면 조명탑 전원이 모두 차단되도록 설계돼 있다. 문제를 일으킨 조명탑은 올 1월 말 대구시가 조도(조명밝기)를 높이기 위해 7억원을 들여 교체한 것이다. 야구장의 기준 조도는 내야 1천500~3천 럭스, 외야는 750~2천 럭스이지만 대구구장은 지난해까지 내야 900~1천 럭스, 외야 600~800럭스로 기준 조도에 미치지 못했다. 개선 후 내야 3천~3천600럭스, 외야 2천~3천 럭스로 지난해보다 3배 정도 밝아졌다.
시는 조명탑으로 들어오는 6천600볼트의 전압을 380볼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5번 변압기(3루 외야 파울 라인 쪽)가 문제를 일으킨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16일 오후 7시 28분 대구구장은 순식간에 조명이 모두 꺼져 암흑천지가 됐고 5번 조명탑을 끝내 복구하지 못해 잔여 이닝을 치르지 못했다. 이 경기는 17일 오후 3시 재개됐다.
조명시설 고장으로 인한 '서스펜디드 게임'은 역대 두 번째로 1999년 10월 6일 전주에서 열린 쌍방울과 LG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1회 조명시설 고장으로 서스펜디드 게임이 선언됐다. 프로야구 통산 서스펜디드 게임은 이날 삼성-두산전까지 6번째다. 정전 또는 조명탑 고장으로 경기가 일시 중지됐던 적은 1984년 MBC-롯데, 1989년 OB-해태전 등 두 차례 잠실구장에서 있었다.
문제를 일으킨 대구구장의 변압기는 교체에 3주 정도 걸릴 것으로 보여, 시는 교체까지 비상발전기를 배치해 경기에 지장이 없도록 할 계획이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