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과학비즈니스벨트 분산배치 가능성 시사?

입력 2011-04-07 10:10:25

박형준 사회특보 "처음엔 세종시 고려했지만 여건변화 살필 것"

청와대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분산배치 가능성을 시사해 주목되고 있다. 박형준 대통령 사회특보는 6일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선정 문제와 관련해"지금 조성하려는 것은 과학비즈니스도시가 아니라 과학비즈니스벨트"라며 "과학벨트에 있어 중심지역이 있고, 주변지역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박 특보의 입지여건 변화에 대한 이 같은 언급은 과학벨트의 핵심인 중성자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충청과 대구경북 등지로 분산배치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박 특보는 이날 한 라디오 프로에 출연해 "대통령이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처음 구상할 때 충청권, 특히 세종시 입지를 고려해서 한 것이 사실"이라면서도"그런 입지 여건이 변화됐는지 안 됐는지는 과학자들이 엄밀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그가 "공항 문제는 다른 개선책을, 대안을 또 찾을 것"이라고 밝힌 것도 신공항 백지화에 대한 대책으로 과학벨트와 LH공사 본사문제가 연계돼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그러나 그는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반대급부'로 과학벨트를 영남권에 분산하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정치권엔 그런 논의가 있지만, 대통령은 법 절차에 따라 과학벨트위원회가 결정해야 한다는 분명한 입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박 특보는 이어 비수도권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개정을 통한 수도권 규제 완화 조치에 대해 "정부의 기본방침은 수도권 규제완화는 필요하지만 지역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될 정도의 그런 수도권 규제 완화를 하는 것에 대해선 정부도 찬성하지 않을 것"이라며 "여러 의견을 들어 결정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