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표 진의는… MB 논리와는 차별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동남권 신공항 계속 추진' 발언을 놓고 정치권에서는 "지금의 박 전 대표가 할 수 있는 발언 폭(幅) 중 최대치"라는 반응이 대세였다. 이명박 대통령과 불필요하게 각을 세우지 않고 신공항을 미래 과제로 자신이 추진하겠다는 뜻을 시사했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의 발언 이후 여권에서는 이명박 대통령 탈당론에서부터 입지평가위 발표에 앞서 '백지화론'을 흘린 청와대 관계자의 인책론, 한나라당 지도부 쇄신론까지 제기됐고 친이계와 친박계의 합종연횡이 점쳐지는 등 들썩거렸다.
최근 박 전 대표와 경제공부를 함께하고 있는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대구 수성갑)은 "박 전 대표는 대통령이 자기 일을 할 수 있도록 존중하자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고 대통령의 권한 행사에 자신이 끼어들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박 전 대표가 '계속 추진'이라고 한 것도 자신의 대선 공약에 포함하겠다는 의지로 읽으면 될 것"이라고 해석했다.
짧은 한마디로 끝나곤 했던 '한마디 정치'가 신공항 문제를 기점으로 최대한 균형을 맞추면서 정치적 최대치를 끌어내는 화법으로 바뀌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신공항의 중대성을 깨닫고 있다는 뜻이다. 또 '이명박 대통령'이라는 실명은 거론하지 않았지만 "국민과의 약속을 어긴 것이라 유감스럽다"고 표현한 것도 에둘러 비판하면서 자신의 그런 과오를 범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돌려 표현한 것이라는 이야기다.
박 전 대표의 신공항은 현재의 경제성보다는 미래 가능성을 가장 염두에 둘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영남권 의원들이 국토연구원의 B/C(비용 대 편익) 분석에서 수요 예측을 영남권 1천300만 명으로만 규정해 광주와 전남'북, 충청 수요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것도 정부가 오로지 경제성만 염두에 두었다는 비판을 위해서였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지금 당장은 경제성이 없다고 하지만 미래에는 분명히 필요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밝히면서 동남권 신공항이 미래 남부권 수요와 경제성장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판단, 미래 가능성에 가장 큰 무게를 둘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영남권 의원들이 차기 총선과 대선 공약으로 내세우겠다는 것도 이런 박 전 대표의 맥과 같이 간다는 것이다.
주성영 한나라당 의원(대구 동갑)은 사견임을 전제로 이 대통령의 탈당을 주장했으며 영남권 의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이 대통령은 책임을 지라"며 '탈당'을 우회적으로 주장했다. 친이계 핵심으로 분류됐던 조해진 의원(밀양)은 "신공항에 대해서는 박 전 대표와 같이 갈 수밖에 없다"며 이 대통령과 각을 세웠고, 일각에서는 "영남권 친이계 의원들 중 신공항을 기점으로 친박계와 손을 잡을 공산이 커졌다"는 예측이 나왔다. 한나라당 지도부도 자중지란이다.
31일 최고회의에서도 안상수 대표와 홍준표 최고위원이 신공항 문제를 놓고 설전을 펼쳤고, 충청의 박성효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영남권을) 서운하게 했으니 과학벨트를 나눠주겠다는 식으로 가면 우스운 정부가 될 것"이라고 말하며 신공항 문제가 대구경북과 울산, 호남, 충청이 유치전에 나선 문제로까지 비화되는 것을 경계했다.
한편 친박 성향의 미래연합은 31일 성명을 통해 "박근혜 전 대표의 동남권 신공항 재추진 입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미래연합은 "현 정권 스스로 예측이 불가능한 정권임을 자인하고 만 셈"이라며 "동남권 신공항은 남부권의 경제발전에 없어서는 안 될 물류 핵심거점"이라고 밝혔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