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2, 2007년 두차례 용역서 사실상 폐기…백지화 허구성 자인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 대신 검토하고 있는 김해공항 확장안은 신공항 건설보다 더 사업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가 2002년, 2007년 두 차례 용역에서 검토했던 김해공항 확장안을 사실상 폐기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의 허구가 명백히 드러난 것.
29일 부산시는 당시 건설교통부의 김해공항 확장안 보고서 내용을 공개했다. 정부는 2002년 4월 경남 김해시 돗대산에서 발생한 중국 민항기 추락으로 129명이 사망하면서 그해 12월 '김해공항 안전성 확보 방안 연구'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확장안은 기존 활주로를 남측으로 1㎞ 확장하는 1안과, 교차활주로 설치를 골자로 하는 2~5안으로 나눠졌고, 모두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안 경우 항공기 진입표면의 장애물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장애물 제거에 따른 절토량이 17억㎥에 달해 무려 25조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 여기에 남해지선 고속도로 지하화에 2천억원이 추가되는 등 과다 사업비가 발생해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됐다.
길이 2천600m에서 최장 3천200m의 교차활주로를 설치하는 2~5안은 소음 영향권이 늘어나고, 대형기의 이륙이 불가능하거나 일부 방향에서 착륙이 어려운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종합 결론에서 장애조건이 없는 신공항 이전을 제시했다.
2007년 11월 '제2 관문공항(남부권 신공항) 건설여건 검토연구' 보고서는 김해공항 확장에 대한 별도 연구보다 기존 연구를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는 수준이다. 이 보고서는 김해공항 확장은 소음 영향권 확대, 군시설 이전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에 노출돼 있다고 분석했다. 또 공항 확장 시 소요되는 비용(장애물 제거 등)이 과다한 것에 비해 기존 공항의 용량 확대 및 운영 효율성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안 수용을 거부하고 '가덕도 신공항'을 독자 추진하겠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정부가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 모두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신공항 백지화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부산시는 대구경북 등을 배제하고 독자적으로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 관계자는 "김해공항 확장안은 앞서 정부 용역에서 보듯 신공항보다 현실성이 더 떨어진다"며 "지금은 상황이 더 변해 소음과 안전성, 미래 항공수요에 대비한 확장성을 염두에 두면 신공항 건설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