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본 원전 사고,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입력 2011-03-15 11:05:37

3·11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폭발 사고와 냉각 장치 파손이 잇따르면서 원자력 안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와 3호기가 폭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면서 피해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2호기의 냉각 장치도 파손돼 원자로 노심 손상으로 인한 방사성 물질 누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일본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 누출이 수개월간 이어질 수 있으며 원전 인근 지역은 수십 년간 사람이 거주할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대만, 독일, 스위스, 브라질 등이 원자력 발전 정책을 재검토하거나 새 원전 교체 계획을 보류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과거 미국 드리마일 원전 사고와 구소련의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악몽을 잊을 수 없는 국제사회가 다시 경각심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원전 안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행히 일본 원전 사고의 방사성 물질이 풍향 상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우리나라 원전이 일본 원전보다 기본 설계부터 다르고 우수해 안전하다고 한다. 그러나 국내 원자력 발전소가 울진, 월성 등 지진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해안 지역에 집중돼 있어 인근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으며 절대적 안전이란 성립되기 힘든 것도 사실이다.

일본 원전 사고를 계기로 정부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두 모아 안전 문제를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또 원자력 안전 문제가 인근 국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일본, 중국, 북한 등과 함께 계절별 풍향과 풍속 등을 고려, 최대치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설계 방식 등 대책을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 원자력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바이오, 태양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