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 위험지구 6곳에 대피장소 마련…道, 23곳 지진관측소 등 점검
일본 대지진에 따라 동해에 접한 경북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경보시스템 점검과 대비태세를 강화하는 등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일본 열도 서쪽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가장 큰 영향이 예상되는 울릉도를 비롯해 철강과 전자제품 등 수출입 물량이 많은 포항, 구미 등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경상북도는 일본 강진과 쓰나미에 따라 울릉도를 포함한 도내 지진관측소 23곳과 동해안 72개 비상경보시설을 점검하고 대비태세를 강화하기로 했다. 도는 재난 대비 대응체제를 위해 긴급재난재해대책반을 가동하고 일본 대지진 여파에 따른 경북도 내 일본기업과 일본 내 도민회 피해상황 등을 파악하며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마련키로 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12일 구미의 일본계 기업인 도레이새한과 아사히글라스에 전화를 걸어 위로를 전했고, 일본 도쿄와 오사카의 경북주재관에게 현지상황과 피해상황을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특히 울릉도는 평소 쓰나미에 따른 위험지구 16곳과 지구별 대피장소를 정해 만일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주민들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했다. 울릉도에는 지진관측소와 함께 지진해일파고계가 설치돼 있어 자체적으로 쓰나미 규모를 관측할 수 있으며 기상청과 실시간 정보공유를 하고 있다.
김관용 지사는 "긴급재난재해대책반을 가동해 대책 마련에 나섰고,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요청이 있으면 민간단체와 협력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도 12일부터 위기관리상황반을 가동하고, 지역 출신 일본 여행객의 소재 파악과 재일본 대구지역 출향인들의 안전 확인에 나서는 등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부산시는 12일 간부들을 중심으로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일본 지진의 피해현황과 부산지역에 미칠 영향, 지진 복구를 위한 지원책 등을 논의했다. 시는 정부 방침이 정해지면 구호물자를 지원할 예정이며 부산에 있는 일본총영사관과 협의해 일본인 관광객의 편의를 돕기로 했다. 또 부산에 영향을 줄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해 마련한 '지진해일 대처 매뉴얼'을 재점검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울릉·허영국기자 huhyk@msnet.co.kr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