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유난히 지는 가을이 아쉽다. 작년 가을에 이어서 올 가을에도 아들을 결혼시켜서 그런가 보다. 11월이 되면 수능시험 보러가던 아들의 심란한 뒷모습과 가을의 스산함이 연상됐는데 이제는 결혼식장에 입장하는 함박웃음의 아들과 연상되는 환한 가을의 이미지를 만들어야 하겠다.
큰 아들 때는 뭔지도 모르고 정신없이 결혼식을 치른 것 같고, 작은 아들 때는 작년의 경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했음에도 불구하고 후회가 남는다. 이제는 더 잘해 볼 기회도 없으니 아쉬움만 남을 뿐…….
어차피 살아가면서 누구나 후회를 하며 사는 것 같다. 문제는 과연 내가 죽기 전에 얼마나 적은 후회를 할까 인 것 같다. '죽을 때 후회하는 스물다섯 가지'라는 책에서도 죽음을 앞둔 사람들의 육체적인 고통은 약물로 어느 정도 줄여줄 수 있었지만, 육체적 고통보다도 살아 온 인생을 후회하며 느끼는 정신적 고통이 더 크다고 했다.
어찌 안 그렇겠는가! 살날이 남아 있을 때도 후회가 생기면 회한 때문에 밤잠을 못 이루면서 그 나마 '다음에는 어떻게 하자'로 정리라도 할 수 있는데 살날이 얼마 없는 시점에 후회란 그 자체가 절망일 테니.
90세를 눈앞에 두신 전직교사가 어느 일간지에 기고한 글이다.
"새벽 4시에 깼다. 깼다기보다 잠에서 쫓겨난 셈이다. 난 준비 없이 노후를 맞았다. 모든 게 후회뿐이다. 정년 퇴직한 지 어느덧 20년, 이제 무엇을 하고 살까, 무엇을 남기고 떠나야 할까"
2010년이 저물어 가는 시기에 우리에게 우리 삶을 뒤돌아보라고, 그리고 앞으로의 삶을 준비하며 맞이하라고 우리에게 권면하시는 것 같다. 인생의 나날들을 뒤돌아보면서 하는 후회. 너무도 늦은 후회가 되기 전에 지금 후회되는 일이 있다면 용기를 내어 극복해 보자.
죽을 때 후회하는 25가지 중에서 "건강을 소중히 여겼더라면", "좀 더 일찍 담배를 끊었더라면", "치료의 의미를 진지하게 알았더라면" 등이 건강과 관련된 내용이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맙다는 말을 했더라면" 과 "진짜 하고 싶은 일을 했더라면"이 제일 많이 후회하는 내용이라고 한다.
주위 사람들에게 "고마워"하는 말 한마디를 건넴으로 이 세상을 떠날 때 큰 짐 하나를 벗게 된다면 안 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모르는 사람의 작은 친절에 "고마워"는 쉬운데 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마워"하기가 더 어려운 것 같다. 지금 이 시간 제일 가까운 사람에게 "고마워" 하는 문자를 날려보면 어떨까?
이희경 영남대병원 치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