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능 스포츠맨, 윤용섭씨
생활체육의 달인이 있다. 윤용섭(55) 씨다. 수영, 등산, 스키, 볼링, 제트스키 등은 기본, 스킨스쿠버, 마라톤, 트라이애슬론(철인3종), 윈드서핑 등 못 하는 게 없고, 손 안 대 본 게 없을 정도다. 그렇다고 수준급은 아니다. 일반인 보다 조금 나을 정도로 즐기는 수준이다.
시작은 스킨스쿠버로 했다. 1984년 우연히 울릉도에 갔다가 물 속에 들어갔는데 고기들이 너무 잘 보여 순간 '물에 들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바로 스킨스쿠버를 시작했다. 지금은 나이도 들고 해서 따뜻할 때만 한 번씩 나가지만 한창 때는 매주 나갈 정도로 빠져들었다. 스킨스쿠버를 하다 1990년쯤 발에 핀(Fin'물갈퀴)을 신고 근육의 힘만으로 수영하는 10㎞ 원정 핀수영대회에도 참가했고, 윈드서핑, 제트스키에도 도전하는 등 물에서 하는 것은 대부분 시도했다. 그래도 윤 씨가 제일 좋아하고 애착을 갖는 것은 역시 스킨스쿠버. 최대 매력은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미지의 세계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윤 씨는 "스킨스쿠버는 왠지 선뜻 시작하기 힘들고 바다 속으로 30m 정도 내려가면 무섭기도 해 도전 정신이 있어야 할 수 있는 레포츠"라고 했다.
물에서 하는 것만 하다 45세가 되던 2000년 자신의 체력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싶어 마라톤을 시작했다. 6개월 연습 후 바로 서울동아마라톤대회에 출전해 풀코스를 4시간30분 만에 완주했고, 이후 풀코스만 6차례 뛰었다. 마라톤을 3년쯤 하다 좀 더 센 것에 도전하고 싶어 수영과 사이클, 마라톤을 모두 해야 하는 트라이애슬론으로 눈을 돌렸다. 1년 정도 연습을 거쳐 2003년 3월 속초에서 열린 국제트라이애슬론대회에 처음 출전하는 등 3개 대회에서 모두 완주했다. 트라이애슬론은 윤 씨가 스킨스쿠버와 함께 가장 좋아하는 종목으로 앞으로도 계속 할 작정이다.
윤 씨는 워낙 운동을 좋아해 젊었을 때부터 테니스, 축구 등을 즐겼고, 건강도 타고나 이런 끊임없는 도전이 가능했다. 그러나 윤 씨의 체력 비법은 뭐니 해도 평소 관리다. 윤 씨는 매일 오전 5시에 일어나 1시간 30분 정도 운동하고 출근하다. 벌써 30년이나 됐다. 지금도 매일 새벽 자전거를 타고 6㎞ 정도 떨어진 수영장으로 가서 1.5㎞ 정도 수영하고 다시 자전거를 타고 돌아와 출근한다. 술을 아무리 많이 마셔도 기상 시간과 아침 운동엔 변함이 없다. 수십 년 동안 하다 보니 습관이 됐다. 그러다 보니 1년 내내 감기 등 잔병치레도 거의 없다.
윤 씨는 대구시 공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공무원이 비용이 만만치 않는 레포츠를 어떻게 즐길 수 있느냐'는 주위의 곱지 않은 시선이 따를 만하다. 이에 대해 윤 씨는 "생각만큼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고 했다. 스킨스쿠버 등 일부는 비용이 들긴 하지만 충분히 감당할 만한 수준이고 나머지는 크게 돈 들 일이 없다는 것. 스킨스쿠버는 소속 동호회 회원들과 같이 가기 때문에 장비를 가진 회원들이 많아 얼마든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공기탱크와 배를 빌리는데 10만원 정도 경비가 들긴 하지만 이 역시 지금은 한 달에 한 번 정도 나가기 때문에 다른 레포츠를 즐기는 비용과 비교해 결코 비싸지 않다.
물론 초기 비용이 없을 순 없다. 스킨스쿠버를 처음 시작한 1984년, 200만원이라는 거금을 들여 장비를 구입했고, 윈드서핑 보드도 100만원을 주고 중고를 구입했다. 그러나 어떤 레포츠를 즐기더라도 이 정도의 구입비용은 들기 때문에 기꺼이 감수했다는 것. 윤 씨는 "스킨스쿠버 장비는 사고 싶은데 돈이 없어 대뜸 공무원 대출로 500만원 빌려 200만원으로 장비를 구입하고 나머지 300만원을 아내에게 줬다. 아내는 웬 돈인가 싶어 좋아했는데 나중에 매달 월급에서 공제되니까 대출한 것 알고 난리를 쳤다. 혼도 많이 나고 1년 동안 '정신 나간 사람'이란 소릴 들으며 바가지를 긁혔다. 그러나 한 번도 후회 한 적이 없고 거의 영구적이기 때문에 크게 비싸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설사 비용이 적지 않다 하더라도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가서는' 안 된다는 게 윤 씨의 기본 생각이다. 뭐든지 '하지 않는 것이 하는 것 보다 훨씬 못하다'는 것. 윤 씨는 "뭔가를 하고 싶다고 생각할 때 그것을 하는 게 마땅하다"고 단언했다. 계속 새로운 것에 도전하면 생각과 생활 등 모든 것이 바뀐다. 마인드가 도전적, 의욕적으로 바뀌면 직장, 일상, 가정 등 생활 자체도 변해 돈으로 환산하지 못할 만큼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윤 씨는 "남이 쉽게 하기 힘든 운동을 함으로써 도전 정신을 기를 수 있고, 일을 할 때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끈기, 자신감도 생긴다. 또 성격도 밝아지고 레포츠를 통해 나이를 불문하고 여러 부류의 사람들과 만나 친해질 수 있어 대인관계도 좋아진다. 주저하지 말고 뭐든 하고 싶을 때 바로 도전하면 성취욕도 느끼고 미지의 세계도 경험할 수 있다"고 권유했다.
물론 가족이 좋아할 리 없다. 윤 씨는 "주말, 휴가 없이 혼자 밖으로 나가다 보니 아내에게 싫은 소리도 많이 들었다. 그러나 2, 3년 정도 지나니 포기했는지, 만성이 됐는지 별로 잔소리를 하지 않았다."고 했다 윤 씨는 "처음엔 아내, 두 아들과 같이 다녔는데 혼자만 하다 보니 재미가 없어 나중엔 따라 오지 않더라"며 "지금은 이런 레포츠에 집중할 동안만이라도 술 안마시고 몸 관리를 하는데다 다른 데 신경을 안 써 집에서도 오히려 반긴다"고 말했다.
스킨스쿠버는 체력이 허락할 때까지 계속할 계획이다. 아니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이 다닐 생각이다. 현재 스킨스쿠버 동호회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분도 70세나 된다고 했다. 윤 씨는 "젊어선 돌아다니다 늙어서 집에 있으면 욕먹기 딱 좋으니 나이 들면 더 많이 즐길 것"이라며 "스킨스쿠버나 마라톤, 트라이애슬론 등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다. 위험하다고 생각으로 그만큼 더 조심하기 때문에 오히려 덜 위험하다"고 했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