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노력 부족" 시민단체 비판
KEC 노조원들의 공장 점거 사태가 금속노조 구미지부장의 분신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은 가운데 야당 국회의원 및 지역 시민단체들이 적극 중재에 나서고 있다.
야당 국회의원들은 1일부터 평화적 사태 해결을 촉구하며 KEC 앞에서 철야 농성을 벌이고 있다. 구미YMCA 등 지역 7개 시민단체들도 KEC 노사 분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지역 정치권 및 남유진 구미시장이 전면에 나서줄 것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지난달 29일 발표했다.
하지만 KEC 사태 해결에 누구보다 앞장서야 할 지역 국회의원과 구미시장은 현장에서 찾아볼 수 없다. 지난 7월 남유진 구미시장과 김성조 의원(구미갑)이 파업 현장에서 노사 양측을 만나 원만한 합의와 경영 정상화를 촉구했을 뿐이다. 이 때문에 구미지역에서는 "이들이 민생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닫은 것인지, 아니면 KEC 사태는 노사 자율에 맡기자는 것인지 속내를 모르겠다"는 비판의 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 시민단체들이 사태 해결 방안으로 제시한 '남유진 시장이 대표가 되고 시의회와 기관단체들이 모여 시민단체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자'는 제안도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이동식 구미YMCA 사무총장은 "시민단체 7명이 1일 구미시장을 만나 시민단체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안을 했는데도 명쾌한 답을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KEC는 반도체 전문 생산업체으로 근로자 1천여 명에, 연간 매출액은 3천억원으로 생산품의 80%를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3차 협력업체까지 합하면 근로자 3천여 명이 KEC 사태에 직간접 영향을 받고 있다. 혹시라도 공장이 멈춰선다면 3천여 명이 한꺼번에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는 것이다. 나아가 KEC 장기 파업은 회복기에 접어든 구미 경제에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구미 시민들은 "KEC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기 위해서는 노사가 한발씩 물러나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KEC가 문을 닫으면 근로자나 회사는 물론 구미 시민 모두가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노사가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서는 노사 양측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역 국회의원 및 시장을 비롯한 지역사회 지도층들이 사태 해결을 위한 중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