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 이전' 청신호…"MB, 최선의 방향 검토" 지시 확인

입력 2010-10-05 09:45:14

유승민 의원이 金국방에 한 질의에서 사실 확인

이 대통령 'K2 이전 최선의 방향 검토하라' 지시

지역의 숙원인 K2 공군기지에 대해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국방부에 "최선의 방향을 검토해보라"고 지시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4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부 국정감사에서 유승민 한나라당 의원(대구 동을)이 김태영 장관을 상대로 한 질의에서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유 의원은 "들은 바에 의하면 이명박 대통령이 (K2) 기지의 소음 피해가 너무나 심각하다는 걸 잘 알고 계시고, 기지 이전 필요성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고 계시다"며 "(이 대통령이) 최선의 기지 이전 방안을 장관이 검토해보라고 지시했고, 특히 대구에서 경북도로 옮겨야 하면 경북도와도 잘 협력하라고 말씀하셨다고 들었는데 확인할 수 있나"고 물었다. 이달 1일 김 장관이 K2 이전 등 도심군용비행장 이전 기본방향에 대해 대통령 보고가 있었고 당일 있었던 대화 내용에 대한 물음이었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어떻게 옆에 계시지도 않았는데 정확히 알고 계신지… 감탄한다. 약간 차이가 있으나 거의 비슷하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이 K2 이전에 대해 독대한 김 장관에서 '최선의 방향'을 주문했고, 이전에 대한 의지가 있다는 것이 확인된 것이다.

유 의원은 이날 복수의 이전 후보지 선정 뒤 특별법 제정→추진기구 구성 뒤 지원 규모 선정→주민투표→후보지 확정 후 기지 공사→후적지 개발이란 K2 이전 단계별 해법을 제시했다. 이는 경주방폐장 건설에 적용된 바 있는 해결책이다. 이에 대해 김 장관은 "저희도 그런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 그런 과정이 적어도 10년 소요된다"고 답했다.

유 의원은 "K2 공군기지로 인해 대구 동구, 북구 일대 소음피해는 물론 전투기 이착륙으로 인한 고도제한 등 피해규모가 아주 크다"며 "복수의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고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은 이명박 정부가 충분히 해낼 수 있고 그 모델로 가면 대구뿐만 아니라 수원, 광주 등 다른 도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국방부는 K2 이전 후보지 3, 4곳을 압축한 상태로 알려졌지만 발표는 하지 않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