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를 칼로 내리친다.
파르르, 결의 떨림이 칼자루를 지나
온몸으로 퍼진다. 아침 햇살이
팽팽해지는 공기를 뚫고
푸른 등 위에 내리꽂힌다.
순간, 내 속에 살의가 번뜩인다.
저만치 떨어져나간 고등어 대가리
무얼 저리도 골똘히 생각하나.
비린내를 없애려고
청주 한 숟가락 뿌리다가
얼른 목구멍으로 한잔 털어넣는다.
밤새 내게서 나던 냄새도 만만찮았지.
끓는 냄비 속으로 몸을 던진다.
뜨거울수록 고등어는 단단해진다.
찌개 냄비를 가운데 놓고
밥상 앞에 둘러앉아, 후후 불며
자꾸만 절하는 저 붉은 입들.
며칠 전 이창동 감독의 '시'라는 영화를 보았습니다. 영화의 메시지는 요컨대, 시란 '대상과의 몸 섞기' 즉, '대상에 깊이 스며들어 동화되고, 하나 되기'라는 것이었습니다. "끓는 냄비 속으로 몸을 던진다"라는 구절을 읽는 순간, 바로 영화 '시'가 떠올랐습니다. 고등어를 다듬다가도 "푸른 등 위에 내리꽂히"는 아침햇살이며, "칼로 내리치"는 순간의 살의를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이 '시쓰기'입니다. 고등어 비린내를 통해서도 생의 단내, 실존의 악취를 성찰하는 게 '시'일 테지요. 그러니, "찌개 냄비를 가운데 놓고/ 밥상 앞에 둘러앉아, 후후 불며/ 자꾸만 절하는 저 붉은 입들"은, 우리보다 조금 먼저 생을 마감한 고등어에 바치는 겸허한 추모이자, '붉은 입'이 상징하듯 '뱀파이어'식 흡혈 욕망, 즉 '먹어야 산다'라는 욕망의 이중주, 혹은 '몸 섞기' 같은 것일 터입니다. 뜨거울수록 단단해지는 것이 어디 고등어뿐이겠습니까.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