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을 두고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정면충돌 양상을 보이자 대구경북이 정치적 딜레마에 빠졌다. 치킨게임을 벌이고 있는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를 지켜보는 대구경북 시·도민들은 안타까움을 숨기지 않고 있다. 탈출구 없는 싸움에서 세종시 수정안이 어떤 결론이 나든 두 사람 중 한 사람은 정치적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세종시 수정안이 거부되면 이 대통령은 권위를 손상당하면서 조기 레임덕에 빠질 수 있다. 이는 대구경북에 나쁜 영향을 끼칠게 뻔하다. 지역은 이명박 정부로부터 첨단의료복합단지, 각종 사회간접자본(SOC) 건설 등 '혜택'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비 예산도 대구시는 5조원, 경북도는 7조원 시대를 열었다. 한국뇌연구원, 영남권신공항, 국가산업단지 조성 및 기업 유치에 정부 지원이 더 필요하다. 세종시 수정안에 지역 여론이 들끓지만 현직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가 주춤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풀이다. 물론 공천을 의식한 행보란 비판도 공존한다.
그렇다고 박 전 대표가 상처받는 모습을 보기도 싫다는 것이 지역 민심이다. 퇴로마저 없애면서 '원안+α'를 주장하고 있는 박 전 대표로서는 수정안이 그대로 받아들여지면 대권 가도에 빨간불이 켜질 공산이 없지 않다. 차기 대통령 후보로 일방적으로 지지하는 박 전 대표가 상처받는 국면을 대구경북은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다. 두 사람이 세종시에 정치적 명운을 내걸다시피하는 '현실'을 바라보는 지역민들은 착잡할 수 밖에 없다.
대구경북은 두 사람이 대결이 아닌 타협을 통해 슬기롭게 세종시 문제를 해결하기를 바라고 있다. 이만섭 전 국회의장은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가 이른 시일 내에 만나 허심탄회하게 의논해야 한다"며 "박 전 대표도 애국심으로 뭉쳐진 사람이기 때문에 두 사람이 마주 앉으면 해법이 나온다"고 말했다. 주호영 특임장관은 "말하기 조심스럽다"고 전제한 뒤 "정치에서는 충돌하기도 하고, 풀리기도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치 싸움과 지역 현안을 분리할 것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홍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정치와 정책은 분리돼야 한다"며 "정치권의 싸움에 매몰되지 말고 지역 현안을 챙기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