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골드' 물산업 "2015년 1600조 거대시장 성장"

입력 2009-12-16 09:37:38

'토탈 물 산업' 심포지엄

5년 뒤 1천600조원의 거대시장으로 성장이 예측되는 '물 산업'을 대구경북의 미래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 심포지엄이 대구에서 열렸다.

대경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와 대구경북연구원은 16일 오후 3시 대구EXCO에서 '토탈 물 산업 광역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심포지엄'을 열었다. 물에 대한 가치는 20세기 석유의 가치(Black Gold)와 비교할 수 있다는 의미로 '블루골드'(Blue Gold)라는 용어가 고유명사화될 정도로 최근 의미가 높아지고 있는 분야다. 정부는 특히 세계 물 산업 시장 규모를 2004년 886조원에서 2015년에는 1천600조원의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올 1월에 환경분야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해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추광호 경북대 교수를 비롯해 물 분야 5명의 전문가가 대경권의 물 현황, 서울시 아리수 사업, 코오롱의 물 산업 진출 사례, 우수(雨水) 및 해수(海水) 활용방안 등을 내용으로 주제발표하고 신장철 대경창투 대표 등 6명이 패널로 참여해 대경권의 협력사업 도출을 위해 토론을 벌였다.

대구경북은 낙동강과 금호강, 동해의 청정 해양자원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3급수 이하의 수질이었던 금호강을 1급수 수준으로 향상시킨 수질개선 능력을 감안할 때 물 산업에 대한 잠재역량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 낙동강을 통해 강원권 및 동남권과의 초광역 협력사업 발굴도 가능해 무한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경권 광역위 관계자는 "이번 포럼과 연계해 이달 중에 전문기관을 선정해 '대경권 물 산업 광역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지역 내 수자원 및 관련 기업 현황 조사, 수처리 R&D 과제 도출, 핵심 인프라 구축, 시도 연계협력사업 기획, 사업화 방안 등을 제시하는 등 실천적 대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