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수선한 세월이다. 하루가 멀게 실업자가 쏟아진다. 실업가와 실업자, 한 획순의 차이가 하늘과 땅으로 삶을 가른다. 그 사이 '실없는 웃음'으로 목숨을 연명하는 이는 또 얼마나 많은가.
사주에서 직장은 관살(官殺)로 나타난다. 예컨대 나 자신을 나타내는 일간(日干)이 물이라면 물을 제어하는 흙이 관살이다. 이 관살을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 재성(財星)이다. 여기에선 불이 된다. 재성은 돈이기도 하다. 사주에 재성이 튼실하다면 웬만한 외부의 불합리한 조건에서도 관직은 이어진다. 즉 돈으로 관직을 매수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실제로 뇌물은 돈을 주고 관직을 사는 것으로 볼 수도 있지 않은가. 상사와 술자리를 같이 하고, 골프로 유혹을 하는 것도 그 이면은 돈이다.
사주에 재성이 없거나 무력하다면 비겁운(比劫運)에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비겁은 나와 같은 오행이다. 여기에서는 같은 물이 된다. 그러기에 직장 동료도 되고, 경쟁자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비겁운이 들어오면 동료들이 나의 직장 생명줄을 끊는다고도 볼 수 있다. 여기서 밀린 자들은 고용지원센터로 출근 할 수밖에 없다.
재성은 남자에게 있어서 아내가 되기도 한다. 직장에서 쫓겨난 자에 아내의 시선이 좋을 리 없다. 돈줄 떨어져 힘든 상황에 내리깐 아내의 시선은 그야말로 전율, 그 자체다. 이래저래 재성의 무서움이 실감나는 시기다.
재성이 튼실한 사람은 아내가 무서운 동료들에서 나를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끊임없이 나에게 힘을 실어주기 때문이다. 비록 관직을 파괴하는 상관운(傷官運)이 들어와도 그 상관의 힘을 빼앗아 다시 관직을 생조한다. 여기서 상관은 나무가 되고, 나무는 불의 원천이 된다. 힘의 배가인 셈이다.
재성이 없는 사주를 고관무보(孤官無補)라 한다. 말 그대로 외로운 관(官)이다. 아마 요즘같은 세상엔 이처럼 무서운 글자도 없을 게다. 재성, 참으로 귀한 글자다.
하국근 희실풍수·명리연구소장 chonjjja@hanmail.net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