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초·재선 의원들이 세종시 논란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무기명 비밀투표로 매듭짓자는 방안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져 현실화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의 초·재선 모임인 미래정치연구모임(공동 대표 정희수·진영 의원)은 최근 정의화 세종시특위 위원장에게 이 같은 방안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모임에는 강길부·이계진·조윤선 등 친이와 친박 및 중립적인 의원들을 망라한 17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 방안은 세종시 문제와 관련해 원안, 원안+α, 수정안 등 3개의 대안을 놓고 여야 의원들 간 무기명 비밀투표를 해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쪽을 최종 방안으로 선택하자는 것이다. 결국 여야 모두 세종시 해법에 대해 당론을 정하지 않고 소속 의원들의 자유투표(프리 보팅)에 맡기자는 셈이다.
이는 세종시 논란에 대한 여론수렴은 필요하지만 여권 일각에서 제기돼 왔던 국민투표 실시 주장이 엄청난 비용과 갈등을 초래할 것이란 점을 들어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정희수 의원(영천)은 "모임에서 수차례 논의한 끝에 이 같은 안을 만들었다"며 "국회법을 검토한 결과 법적으로는 문제될 게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투표 실시 시기에 대해서는 모임 내부적으로 이견이 표출돼 당 결정에 맡기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는 후문이다.
정부가 수정안을 발표한 직후에 투표를 하자는 쪽은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의원들의 입장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그러나 수정안이 만들어지면 당론이 정해지게 되고 의원들은 이를 따를 수밖에 없다는 점을 들어 조기에 투표를 해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됐다는 것.
이에 앞서 정의화 세종시특위 위원장은 "특위는 원안 고수나 수정안 추진 등 어떤 예단이나 전제를 갖고 활동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여론을 수렴중이며 집권 여당은 국민통합과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엄중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