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녹색-자족-교육도시 건설 '밑그림' 제시
특혜 논란으로 대구경북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반발을 사고 있는 '세종시 수정안'의 밑그림이 드러났다. 23일 열린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2차 회의에서다. 핵심은 ▷녹색기업도시로 육성 ▷대규모 연구기관 유치로 자족기능 확충 ▷교육·문화시설 설립으로 초기 인구 유입 유도 등이다.
정부는 이날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2차 회의를 열고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기업 부문에서는 세종시를 세계적 수준의 '녹색기업도시'로 육성한다는 기본 계획을 잡고 IT서비스, 소프트웨어, 디자인산업 등이 들어서는 융복합 클러스터 단지를 건설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국가산업단지 지정도 검토하고 있다. 이 경우 도로·용수 등 기반시설에 국고가 지원되고 취득세·등록세가 면제된다.
또 연구기관과 관련해 세종시 이전이 결정돼 있는 경제인문사회 분야 연구기관 16개 이 외에 국가핵융합연구소 제2캠퍼스, 연구개발인력 교육원, 고등과학원 분원 등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특히 경북 유치가 확정적이었던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제백신연구소, 아태이론물리센터 등 해외 연구기관 3곳도 유치 가능 기관으로 제시했다. 아시아기초과학연구원(ABSI)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설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세종시에 조성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아울러 초기 인구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우수 중등 교육기관을 유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자율형 사립 및 공립고, 특수목적고, 마이스터고 등 우수 고교를 유형별로 1개교씩 우선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자율형 사립고의 경우 입주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설립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기업 임직원 자녀에 대해서는 일정 비율 입학을 허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 밖에 다양한 문화공간을 조성한다는 방침 아래 국립도서관과 아트센터, 국립세종박물관, 도시박물관 등 문화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편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는 28일 세종시 현장을 방문해 주민 여론을 직접 청취키로 했다. 합동위는 또 이번 주내 국토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3개 기관이 분석한 세종시 자족성 보완 방안과 행정기관 이전 문제에 대해 보고 받고, 내주 초에 이에 대한 검토를 끝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달 초순에는 3개 연구기관이 제시한 복수의 세종시 대안(代案)을 놓고 2, 3회가량 관련 학회 세미나를 갖는 등 검증 절차를 거친 뒤 이르면 10일께 최종 대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