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기업, 패션보다 산업용 소재 분야로 전환 서둘러야"

입력 2009-11-18 07:40:51

장석구 지식경제부 미래생활섬유과장

장석구 지식경제부 미래생활섬유과장은 "대구경북이 섬유산업과 관련, 패션 위주로 가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소재 분야 쪽을 더욱 강화하는 게 경쟁력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지역에서 패션산업의 가능성은.

▶과거 밀라노 프로젝트가 패션 위주로 추진되는 바람에 사업 자체가 실패했다는 게 정부 및 관련 연구소 등의 대체적인 평가이다. 패션산업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수요단지가 있어야 하는데 지역은 그렇지가 못하기 때문이다. 밀라노 프로젝트로 거액의 예산을 대구경북에 투입했음에도, 아직까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기업은 탄생하지 않고 있지 않은가.

-지역 섬유업계가 지향해야 하는 방향은.

▶강한 분야를 더욱 강하게 해야 한다. 패션 같은 취약한 분야를 강하게 하려면 재원도 많이 투입해야 하고 성공하기도 쉽지 않다. 화학섬유 소재분야에 주력해야 하며, 특히 의류용을 산업용으로 시급히 전환해야 한다.

-녹색섬유 육성을 위한 지역 내 기반은 어떤가.

▶소재 분야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어 녹색섬유의 성장가능성도 크다. 지역에서 철저히 준비, 육성해나가야 한다. 녹색섬유라는 것도 '그린'이라는 말만 덧붙였지 결국 섬유업인 만큼, 단기간에 성장·발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린섬유 성장을 위해 갖춰야 할 여건이라면.

▶일차적으로 지역 기업들의 의지에 달려있다. 사양산업이 아니라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인식해야 한다. R&D 분야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키우고 차별화된 제품개발에 나서지 않으면 지역섬유는 설 곳이 없어질 것이다. 업계의 원로들도 1970, 80년대 섬유업이 잘나가던 시절의 생각들을 빨리 지우고, 급변하는 상황에 대처해 나가야 한다.

-섬유산업도 수도권 쪽으로 갈수록 쏠리고 있는데.

▶섬유와 관련된 대규모 수요단지가 수도권에 있으니 산업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 수도권이 옷을 만든다면, 대구경북은 직물 쪽으로 주력하는 차별화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요즘은 직물 쪽이라고 패션과 무관한 게 아니라 업계 관계자들이 패션쇼 등에 자주 참석, 흐름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서봉대기자jinyo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