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長 경선인단에 일반인 비율 줄이자"

입력 2009-11-17 10:25:20

여, 변경안 논의, 논란일 듯

한나라당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에서 일반인의 참여를 줄이는 대신 당원 참여 비율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주목된다. 경선인단에서 현재 50%인 당원 참여 비율이 60%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면 일반인의 비중이 낮아져 인지도가 높은 광역단체장의 '현역 프리미엄'이 줄어들게 된다. 특히 광역단체장 후보 경선이 대선 후보 선출 규정을 준용하도록 돼 있다는 점에서 광역단체장 경선 규정 변경이 곧바로 대선 후보 경선 규정 변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파장이 작지 않을 전망이다.

한나라당 당헌당규개정특위(위원장 황우여)는 최근 전체회의를 열고 일반인과 당원이 5대5 비율로 돼 있는 대선 후보 경선인단 참여율 변경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당의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당원과 일반인의 비율이 같으면 당원의 자존심이 상하고 투표 참여율도 뚝 떨어질 것"이라며 당원 비율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현행 당헌·당규에는 대의원 20%, 일반당원 30%, 국민경선인단 30%, 여론조사 20%로 규정돼 있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폴란드를 방문하고 있는 장윤석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영주)은 17일 "대선 후보 경선 규정을 지금 잘못 건드리면 논란이 불거질 수 있어 광역단체장 선거 규정만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현역 단체장은 탐탁지 않게 여기고 있다.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상북도지사 측은 일반 시·도민들의 시각에서 공당의 후보로 적합한 사람을 뽑아야 한다는 요구 때문에 도입한 제도를 투표율이 저조하다는 이유만으로 변경하는 것은 취지에 맞지 않는 것 아니냐는 입장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