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공항 비행훈련원 누구를 위해?

입력 2009-11-12 09:56:37

道·郡, 경제 일자리 효과 검증 안된 전문기관 설립에 70억 투입키로

경상북도와 울진군이 경제효과 등이 검증되지 않은 울진공항내 비행교육훈련원 설립에 74억원을 투입키로 해 '누구를 위한 사업'이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국토해양부가 올해 조종사 양성을 위한 비행훈련 전문기관을 설립키로 하자 강원도 양양군이 먼저 유치의사를 밝혔고, 울진군은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울진군은 올 9월 국토부와 한국항공진흥협회가 주관한 유치지역 평가에서 ▷지방자치단체 협조 ▷비행교육을 위한 활주로 여건 등의 항목에서 앞서 비행교육훈련원을 유치하는데 성공했고 경북도에 훈련원 기숙사 및 강의실 건립 예산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울진군은 비행훈련원 유치에 따른 경제성, 파급효과 등을 정밀하게 검토하지 않은 채 유치신청을 한 것으로 관계자들에 의해 파악되고 있고 이에 맞춰 경북도도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지원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경북도·울진군은 비행훈련원 설립에 169억원이 투입된다고 밝히고 있지만 국토부와 한국공항공사가 부담하는 89억원은 현 공정률 88%인 울진공항과 유도로 및 계류장 시설에 모두 투입되고 기숙사와 강의실 등 훈련원 시설조성에 드는 74억원은 모두 도와 울진군이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훈련원의 교관·정비인력은 모두 전문 인력을 뽑을 수밖에 없어 울진 현지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미미할 것으로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12일 "울진군의 요청에 의해 훈련원 설립에 참여하기는 했지만, 지역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사실상 의문스럽다"고 실토했다.

한편 경북도는 12일 오후 국토부에서 울진군, 국토부와 비행교육훈련원 설립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비행교육훈련원이 설립되면 국토부가 매년 교육 훈련비 20억원을 지원하며, 교관과 정비 인력 70명, 훈련용 항공기 32대가 배치된다. 매년 양성되는 조종사는 200명 규모다.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