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국가정책에 묘소 옮겨야하다니…"

입력 2009-11-02 09:48:57

대구사이언스파크 들어설 달성 구지면 일대 뒤숭숭

거듭된 산업 단지 조성에 따라 1992년에 이어 또 이장해야 하는 달성군 구지면 파평 윤씨 묘소.
거듭된 산업 단지 조성에 따라 1992년에 이어 또 이장해야 하는 달성군 구지면 파평 윤씨 묘소.

"또 묘소를 옮겨야하다니 막막합니다."

대구사이언스파크가 들어설 대구 달성 구지면 일대에는 토지보상 외에도 또 다른 난제가 있다. '묘지 이장'이다. 이미 구지면 야산에는 '묘지 이장'이라는 플래카드가 넘쳐 난다. 주민들 사이에서는 "또 한 번 난리를 겪어야 한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

1일 구지면 노인회관. 한 주민은 "뾰족한 대책이 있나. 국가에서 하라면 두 번이고, 세 번이고 해야지. 국가에서 하라는데…"라며 입술을 지그시 다물었다. 주민들에 따르면 구지면 일대에는 1990년대 달성2차 산업단지 조성에 따라 토지보상을 받고 묘지를 이장한 집안이 여럿 있다. 조상 대대로 모시던 묘지를 구지면 내 주변 야산으로 이장했다. 파평 윤씨, 현풍 곽씨, 전주 이씨 집안이 대표적이다.

그중 1992년 문중 산이 달성2차 산업단지 부지에 포함되면서 조상 묘를 이장한 파평 윤씨 집안은 할 말을 잃었다. 묘소와 재실에다 400년 동안 뿌리내린 집성촌까지 산업단지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조상의 묘지를 한 데 모아 공원묘지처럼 만들어뒀기에 더 어처구니가 없다.

파평 윤씨 종친회장 윤수동(66)씨는 "1992년에는 마침 문중 소유 산이 가까워 한꺼번에 다 옮겨 모셨는데 이번에 또 산업단지에 포함되니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할지 모르겠다"고 한숨지었다. 당시 파평 윤씨 집안은 응암 1리 한 야산에 100여기를 한꺼번에 이장했다. 이 묘소를 꾸리는 데 걸린 기간만 2년 6개월. 또 묘소를 옮겨야한다는 생각만 하면 머리가 아파온다는 윤씨는 "묘소 일부는 고령 등지 문중 산으로 옮길 수 있어도 나머지는 어디로 이장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했다.

윤씨는 "이 주변에는 더 이상 산도 없고, 설령 묘를 옮긴다고 해도 동네에서 혐오시설이라고 반대라도 하면 대책이 없다"며 "나라에서 무슨 수를 내줘야 한다"고 하소연했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