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니스의 장군 오셀로는 자신의 아름다운 아내 데스데모나가 부하인 카시오와 밀애 중이라고 의심한다. 두 사람은 결백했지만 오셀로의 의심은 확고했고, 질투에 눈이 먼 오셀로는 결국 아내를 목 졸라 죽인다. 배우자나 연인에 대한 질투가 지나쳐서 부정망상에 휩싸인 상태를 '오셀로 증후군'이라고 한다. 영국의 정신과 의사 존 토드가 처음 명명했고, 바로 셰익스피어의 '오셀로'에서 기인한 것이다.
1872년 12월 17일 런던의 한 빈민가에서 한발의 총성이 울렸다. 새벽 출근을 서두르던 선량한 공장 노동자가 희생됐다. 총을 쏜 사람은 정신병 치료를 위해 영국에 머물던 예일대학 출신의 윌리엄 마이너라는 미국 의사였다. 새벽 거리를 거닐던 윌리엄은 우연히 마주친 그 노동자가 적의 사주를 받은 자객이라는 피해망상에 사로잡혀 살인을 저지른 것이다. 개인으로서는 참 불행한 이 사건이 인류에게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계기가 된다. 무기징역형을 받고 감옥살이를 하던 윌리엄은 우연히 제임스 머리라는 사전 편집자와의 인연을 맺게 된다. 윌리엄은 서신을 통해 수많은 자료를 제공해 옥스퍼드영어사전의 완성에 위대한 기여를 했다.
망상은 현실에 맞지 않은 잘못된 생각을 말한다. 사실과 다르며,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허황하지만 본인은 진실이라고 믿는다. 앞뒤 상황을 조목조목 따져 설득해도 맨주먹으로 바위치기다. 망상은 배운 사람이나 못 배운 사람이나, 부자나 가난한 사람이나, 선진국 사람이나 개발도상국 사람이나 차이가 없다. 남녀도 마찬가지다. 망상을 보이는 여러 가지 정신질환이 있지만, 특히 정신분열병은 적어도 초기에는 망상이 주 증상이다.
뇌의 여러 가지 신경전달물질이 정신현상이나 신경학적 기능을 발휘한다. 이 물질을 운반하는 신경회로는 각각 시작하는 부위가 있고 작용을 발현하는 부위가 있다. 망상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인데, 회로는 중뇌에서 시작해 대뇌피질에 이르러서 작용한다. 도파민이 높아지면 망상이 생겨나고, 도파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하면 대개의 망상이 사라진다. 전자의 예로는 암페타민이라는 약물을 들 수 있고, 후자는 1950년대 초부터 사용된 클로르프로마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항도파민제가 많이 개발되어 있다.
펜싸이클리딘이나 케타민과 같은 마약에 중독된 사람들에서 정신분열병과 유사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글루타메이트라는 신경전달물질도 망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렇지만 망상의 형성을 명쾌하게 설명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다.
박종한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