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
'영덕 월월이청청'(사진), '경주 먹장', '사기장-백자장'이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경북도는 최근 문화재위원회 민속문화재분과위원회를 열고 민속학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영덕 월월이청청' 등을 도지정무형문화재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영덕 월월이청청'은 강강술래(중요무형문화재 제8호), 안동놋다리밟기(도무형문화재 제7호)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여성놀이 중 하나다.
월월이청청은 동해안 일대에서 전승되는 놀이로 정월대보름과 추석에 젊은 여자들이 원형, 선형, 나선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만들면서 놀았던 여성 군무(群舞)다.
특히 영덕의 월월이청청은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에 전승되는 원형을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전승되고 있다.
'경주 먹장(墨匠)' 유병조씨는 3대째 전승되어 온 전통 먹을 만들어왔다. 현재 국내에서 전통 먹을 생산하는 곳은 대전과 경주의 2, 3곳. 특히 붓을 사용하는 동아시아사회에서 전통 먹 만들기는 고유의 무형문화자산으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고 그 기능을 가진 자가 희소해 보존 전승이 절실했다.
또 전통적인 먹 제작기법과 기술은 그을음, 아교, 향의 배합기술이 핵심인데 유병조는 다양한 먹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사기장-백자장' 보유자 백영규씨는 문경에 생존했었던 조선시대 광주분원 출신 도공 김교수로 이어지는 전통도자의 맥과 가업(家業)으로 이어져온 사기 제작의 맥을 이어받았다.
백영규씨는 고령지역의 소박한 백자사발을 잘 표현할 뿐만 아니라, 재료조달부터 성형, 정형, 시유와 전통가마를 통한 변조과정에서 전통방식을 잘 계승하고 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