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의 원가는 얼마일까? 100원짜리 한개 만드는 데 들어가는 돈은 무려 59원이다.
14일 조폐공사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동전 재료비는 500원짜리가 84원, 50원짜리가 34원, 10원짜리가 6원인 것으로 계산됐다.
동전의 소재로 사용되는 금속의 국제가격(t당)은 지난 9월 기준으로 ▷알루미늄 1천869달러(227만원) ▷구리 6천212달러(754만8천원) ▷아연 1천904달러(231만3천원) ▷니켈 1만7천467달러(2천122만2천원) 등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0원짜리 동전은 5.42g으로 구리 75%, 니켈 25%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이 동전의 재료비는 59.44원으로 아직은 '멜팅포인트'(Melting Point)와 차이가 컸다.
멜팅포인트란 동전의 소재로 쓰이는 금속의 시세가 동전의 액면금액과 똑같아지는 시점을 뜻한다. 이 때문에 소재 가격이 액면금액 이상으로 상승하면 동전을 녹여 다른 용도로 쓰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국제원자재 가격이 급등한데다 원/달러 환율까지 뛰면서 국내 동전들의 소재가격이 멜팅포인트를 넘어서기도 했다.
500원짜리 동전은 100원짜리와 마찬가지로 구리 75%, 니켈 25%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100원짜리보다 2.28g이 무거운 7.70g이어서 재료비가 24.90원 많은 84.34원이다.
액면가가 가장 낮은 10원짜리는 구리 48%, 알루미늄 52%로 이뤄진 1.22g이어서 금속가격이 5.86원으로 계산됐다.
10원짜리는 1966년 발행된 '가 10원'이 구리 88%, 아연 12%로 제작됐으나 이후 소재금속 가격이 상승하면서 1970년 7월 16일 구리 65%, 아연 35%로 합금 비율을 변경한 '나 10원'이 등장했다. '다 10원'은 디자인만 바뀌면서 1983년 나왔다.
현재의 10원짜리인 '라 10원'은 2006년 12월 발행되면서 아연이 알루미늄으로 대체됐다. 이는 금속가격이 멜팅포인트를 넘어서면서 동전을 녹여 장신구로 만들어 판매하는 사태가 발생했기 때문.
동전 가운데 유통량이 가장 적은 50원짜리는 구리 70%, 아연 18%, 니켈 12% 등 3가지 금속으로 만들어졌고 무게는 4.16g이다. 소재가격은 34.30원.
전 세계적으로 니켈은 고액권 주화에, 구리는 저액권 동전에 주로 쓰인다고 조폐공사는 설명했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