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식 울진원전, 정지사고 제일 많아"

입력 2009-10-13 10:15:59

한수원 국감…방폐물 저장고도 628드럼 초과

경주에 건설 중인 중·저준위 방폐장 건설 문제가 13일 국정감사의 뜨거운 감자였다. 이날 열린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 국감에서는 여야 할 것 없이 이구동성으로 "방폐장의 공기 연장으로 사업 차질이 우려된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포문은 이명규 한나라당 의원(대구 북갑)이 열었다. 이 의원은 "1986년 중·저준위 방폐장 사업 필요성이 제기되고 경주에 선정되기까지 19년간 3천400억원이 허비됐다"며 "하지만 공사 시작 이후 벌써 두 차례 완공이 연기됐는데 기존 원전 내 임시저장시설에 보관했던 방폐물의 포화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같은 당 박순자 의원도 "최근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는 등 방폐장 관련 각종 의혹들을 소관 부처에서 명쾌하게 해소하고 정상적으로 추진되도록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경주 방폐장 공사 도중 연약 암반이 발견됐지만 관계당국이 제대로 보고조차 않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김태환 한나라당 의원(구미을)은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지난해 방폐장 공사를 시작하자마자 연약 암반이 대량으로 발견됐지만 한수원과 방폐공단이 올 6월에야 지식경제부에 보고하는 등 늑장 대응했다"고 질타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방폐장 유치로 지원키로 한 55개 사업 중 국비가 확보된 것은 11.8%(2조9천억원 중 3천400여억원)에 불과하고 ▷신월성 1, 2호기 시운전인력이 정원대비 33.7%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야당 의원들도 거들었다. 자유선진당 김용구 의원은 "방폐장 저장시설 중 울진은 지난해 포화상태고 월성은 올해, 영광은 2012년, 고리는 2014년 포화가 예상된다"며 "암질 등 문제로 2012년 말로 지연된 경주 방폐장이 더 지연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2차 오염 등 위험 요소를 상시 감독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