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내 몸이 왜 이러지?"
'마라톤 위험'에서 벗어나려면 신체가 보내는 이상 징후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대구은행 마라톤팀 유재성 감독(전 국가대표·86 아시안게임 동메달리스트)에게 아마추어 마라토너들이 훈련이나 대회 참가 때 반드시 지켜야 할 수칙을 들어봤다.
▷천천히 여유롭게 뛴다=운동강도는 뛰면서 옆 사람과 이야기를 할 수 있을 정도가 좋다. 숨이 가쁜 것은 몸이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다. 자신의 페이스를 유지하며 골인 후에도 체력이 완전히 고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어지러울 땐 멈춘다=어지럼증이나 구토가 생기면 잠깐 휴식을 취한다. 날씨나 식사 때문인지, 몸이 보내는 이상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기온이 떨어지는 요즘 팬츠나 반팔차림으로 뛰면 저체온증에 걸릴 우려가 있다.
▷골인 후 워밍업한다=골인 후 갑자기 드러눕거나 앉게 되면 심장에 무리가 온다. 10분 정도 가벼운 조깅으로 혈류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마무리운동은 필수다. 스트레칭을 한 다음 근육을 마사지하면 피로가 빨리 풀린다.
▷대회 전날은 푹 쉰다=원정대회의 경우 대회 당일 이동하는 마라토너가 많다. 피로가 쌓인 채 뛰면 부상과 돌연사 위험이 있다. 일찍 도착해 대회 전날은 푹 쉬어야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다.
▷혼자 연습하지 않는다=혼자 훈련하면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어렵다. 특히 인적이 드문 야산이나 외진 곳에서 훈련을 하면 갈증이 날 때 수분 섭취가 어렵고 부상이나 돌발상황에 도움을 받기 힘들다. 반드시 동반자와 함께 훈련하며, 약간의 비상금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최두성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