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농사 풍작과 쌀 재고량 증가로 올해 쌀 수급시장이 불안한 가운데 안동지역은 지자체와 농협, 민간업체 등이 발 빠르게 대처해 쌀 재고량 '0'를 목표로 햅쌀 수급 안정을 꾀하고 있다.
안동시는 올 들어 쌀 재고량이 넘쳐 산지 쌀값이 하락하고 소비감소까지 겹쳐 시장수급 불안정으로 생산농가들의 불만과 불안감이 높았다. 안동시는 이를 사전에 파악하고 농협, 민간업체 등과 긴밀하게 협조해 2008년산 재고물량에 대한 다각적인 쌀 소비촉진 대책을 추진한 결과 '재고량 완전해소'를 이뤄냈다.
지난해 안동지역에서 생산된 총 3만4천700여t의 쌀을 공공비축 2천881t, 농협수매 9천909t, 민간수매(라이스텍) 2천880t 등 전체 생산량의 45%인 1만5천670t을 공공비축용으로 수매했다. 37%인 1만2천750t은 자체적으로 소비하고, 400t은 미국 등 5개국으로 수출했다. 또 안동소주 540t, 참마쌀국수 60t, 안동칼국수(떡국) 24t, 일직농협고추장 7t 등 가공식품용으로 631t을 소비했다.
이에 따라 안동시는 정부가 시장격리 차원에서 벼 10만t을 매입했으나 재고량이 없어 내놓지 못했다. 게다가 서안동농협 민간도정업체(RPC)가 보유하고 있는 43t의 재고 잔량도 이미 납품이 계약된 물량이어서 안동지역 쌀 재고 걱정은 완전 해소됐다.
특히 올해도 지난해처럼 쌀 풍작이 예상됨에 따라 안동시는 수매·수출·식품가공을 더욱 확대하고 이마트 안동점 입점계약 등 다각적인 유통·소비대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올해에도 쌀 수급 유통에는 큰 어려움이 없겠으나, 가격안정을 위해 중앙정부의 쌀 직불금 외에 경북도의 벼 재배농가 특별지원금 확대 건의와 시 자체 건조비 확대 지원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했다.
안동·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